901 615

Cited 0 times in

병사의 자살예방 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분석

Other Titles
 Factor analysis on needs of prevention of suicide in military : 군 부대 간부의 의견조사를 토대로 
Authors
 임금선 
Issue Date
2006
Description
보건관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본 연구는 병사의 자살방지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필요한 간부들의 자살에 대한 이해정도를 알아보고, 군 자살예방 프로그램 요구도와 관련된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2005년 12월 2일부터 12월 7일까지 후방 군병원에 외래로 내원하거나 입원한 간부 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군에서 발생하고 있는 자살에 대해 간부들이 이해하고 있는 수준은, 44.7%가 ‘사망사고 중 자살사고 비율이 가장 높지 않다’고 알고 있고, 40%는 ‘자살하는 군인은 모두 우울증 환자’라고 여기고 있으며, 74.1%는 ‘자살 수단을 제거하는 것이 자살을 막을 수 있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어, 군에서의 자살사고에 대해 잘못 이해하고 있었다.둘째, 군의 일반 병사 관리에 있어 병사의 고민해결이나 생활관리를 위한 면담도움 제공은 71.8%, 대화 노력이 69.4%로 그렇다는 긍정적인 응답을 보여 간부들이 병사관리를 주체적으로 하고 있었다.- ⅰ -셋째, 자살위험병사를 관리함에 있어 각 부대에서 지휘관으로서 느끼는 지휘부담 및 업무상의 스트레스 정도에 있어서는 24.7%가 지휘 부담을 느끼고, 14.1%는 자살위험병사를 간부가 직접 관리하고 있으며, 34.1%는 주위 간부의 정보를 관리하는 중이라고 답하여 지휘관들이 느끼는 지휘부담 및 스트레스의 정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넷째, 전문 자살 예방관리 프로그램의 필요성은 전체의 68.3%가 필요하다고 답하였고 부대 내 전문가의 자살예방관리 참여에 관한 의견은 83.5%로 적극적인 의견을 보였으며, 이는 전문성을 갖추면서 동시에 지휘계통에서 벗어난 상담으로 인해 군내에서 받을 수 있는 인사상의 불이익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민간인의 장점이 부각된 것으로 분석된다.다섯째, 간부의 자살위험병사에 대한 조치정도와 직책, 간부의 도움제공 정도와 복무기간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간부의 복무기간이 길고 병력의 지휘관리 책임이 있는 보급관이나 지휘관의 경우가 기타 참모보직보다는 스트레스 정도가 높았다.여섯째, 간부의 “일반병사관리에 관심도와 전문 자살예방관리 프로그램 이용 의도”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이는 일반병사 관리에 관심도가 높은 간부일수록 자살예방관리 프로그램의 활용도가 많았고, 전문 자살예방 프로그램의 요구도가 높았다.또한 “자살 위험병사의 도움제공과 기존 자살예방 프로그램 활용정도” 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자살위험 병사관리를 위해 기존의 자살예방관련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결론적으로 군의 자살사고는 부대 전체의 문제로 접근되어야 하며 자살예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간부의 주체적인 부대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자살위험병사의 지휘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군 상급부대의 자살예방관리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종합 대책팀’의 설치와 자살위험 병사에 대한 부대 전반적인 보호 분위기가 조성될 때 효과적으로 병사의 자살률을 줄일 수 있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Korean Army noncommissioned offerer (NCO) and officers'' level of understanding of suicide an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NCO and officers'' intention to utilize the suicide prevention program and the interest in managing enlisted men. Samples of the study are 85 officers who are hospitalized in military hospitals of non-front line area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nd 2005 to December 7th 200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1. As a cause for younger soldiers'' suicides, 44.7% of the respondents identified "an inadequate understanding of suicides rates." To resolve the suicide-related problems, the in-service suicides need to be considered a structural problem and an adequate suicide-prevention measure needs to be implemented.- 47 -2. 71.8% of the officers responded that they provided counsels for theirmen regarding personal issues, and 69.4% said that they attempted to have conversations with the enlisted men. This shows that majority of officers proactively seek ways to help the men under their commands.3. 14.1% of the officers actively and personally dealt with their men with high suicide probability, and 24.7% said such efforts increased work-related stress.4.The intention to utilize a suicide prevention program and the interest in managing enlisted men showed a correlation (r=.366, p<0.01).Suicides in the Korean Army must be considered a structural problem, rather than a medical one, and officers'' proactive involvement in managing the issue is necessary. For an effective suicide-reduction measure, the high-raking officers need to set up a team of specialists and promote a protective atmosphere for the likely victims.
Files in This Item:
T009168.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97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