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50 1059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조기접촉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희자-
dc.date.accessioned2015-11-21T06:47:38Z-
dc.date.available2015-11-21T06:47:38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932-
dc.description지역사회 간호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아기만출 직후 10분간의 언어적, 시각적, 촉각적 접촉을 통한 실험처치를 통한 모아조기접촉이 산모의 애착행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이다. 연구는 유사 실험연구로서 비 동등성 대조군 사후시차설계로 수행되었다.연구는 2005년 9월부터 10월까지 G병원(연 분만건수 1000건)에 분만을 위해 입원하는 초산부 41명 (실험군 21명, 대조군 2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조기접촉은 아기만출 직후 1분과 신생아 즉각 간호가 끝난(5분)직후 9분, 총 10분간 하였다. 자료수집은 신생아실에서 모아애착 측정을 하였으며 출산 6시간후 모유 수유실에서 첫 수유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한명의 간호사가 일관성 있게 직접 관찰하였다.본 연구의 도구는 구조화된 질문지로서 일반적 특성에 관한 15문항, 모아 애착에 관한 22문항(이자형과 김진향, 1981)중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동일시 행동 10문항, 산모의 신생아에 대한 모아상호작용 12문항으로 총 3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를 구한후 t- test, x²-test로 두 그룹간의 동질성 검증과 모아애착 차이를 분석하였다.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분만3기 모아 조기 접촉군과 비접촉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를 검증한 결과, 15개의 제 특성은 두 군간에 동질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임신횟수, 평균 유산 횟수( p < 0.034)가 비 접촉군이 조기 접촉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 <0.05).2. 가설1, 모아 조기 접촉한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모아 애착정도가 정도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연구결과 조기접촉군의 모아애착 평균 12.33 (± 1.53) 점수로 대조군 평균 6.60 (± 2.23) 점수 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 되었다( t = 9.635 p = 0.000).가설 1-1, 모아 조기 접촉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산모의 신생아 동일시 행동 정도가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연구 결과 조기접촉군의 신생아 동일시 평균 4.286(± 1.056) 점수로 대조군 평균 2.400(± 1.095) 점수 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 되었다 (t = 5.613 p = 0.000).가설 1-2, 모아 조기 접촉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모아 상호작용이 높을 것이다 라는 가설은 연구 결과 조기접촉군의 모아상호작용 평균 8.048(± 1.244) 점수로 대조군 평균 4.200(± 1.542)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아 지지 되었다 (t=8.813 p= 0.000).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아기만출 직후 10분간의 모아 조기 접촉이 모아 애착 (동일시 행동, 모아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간호중재임이 규명되었다.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본 연구에서는 아기만출 직후 10분간 조기 접촉이므로 추후 연구에서는 5분, 15분, 20분 등의 시차에 따른 애착행위 정도를 비교연구 할 것을 제언한다. [영문]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skin-to-skin contact between mothers and babies immediately after birth on attachment behavior. This study employed a nonequivalent control posttest time series design.A total of 41 first-time mothers who gave birth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to October 2005 in G hospital,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21) and the control group (20). For the experimental group, skin-to-skin contact between mothers and newborns took place for one minute immediately after birth, followed by another 9 minutes after a five minute period of newborn care. Mother-infant attachment was assessed in the newborn nursery and a nurse observed the first breast-feeding of all participants six hours after birth.The structured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udy was composed of 15 items measuring general characteristics and 22 items measuring mother-infant attachment (Lee and Kim, 1981). These 22 items consisted of 10 items assessing mothers'' identification behaviors toward their babies and 12 items assessing mother-infant interaction quality.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expressed a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T-test and x²-test were performed to assess the homogeneity and the quality of mother-infant attachment of the two groups.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mean number of pregnancies (p<0.034) and the mean number of abortions (p<0.05)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with the control.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gene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2. Hypothesis 1.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higher levels of mother-infant attachment security (12.33 ± 1.53)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6.60 ± 2.23) ( t = 9.635 p = 0.000).Hypothesis 1-1.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higher intensity of identification behaviors toward babies (4.286 ± 1.056) than the control group (2.400 ± 1.095) (t = 5.613 p = 0.000).Hypothesis 1-2. Results supported the hypothesis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s a higher quality of mater-infant interaction (8.048 ± 1.244) than the control group (4.200 ± 1.542) (t=8.813 p= 0.000).In conclusion, the 10-minute skin-to-skin contact between mothers and babies immediately after birth had positive effects on identification behavior and mother-infant interaction. Such a skin-to-skin contact can be recommended for all mothers-to-be as a way of improving mother-child relationships.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mpare the effects of skin-to-skin contact between mothers and babie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contac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조기접촉이 모아애착에 미치는 효과-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ontact on maternal infant attachment-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un, Hee J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