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quality of life index of mothers with cerebral palsy children
Authors
손현숙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를 이해하고, 그들의 부담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알기 위해, 2005년 4월 15일부터 5월 27일까지 1개의 종합병원과 1개의 재활학교에 다니고 있는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해 일반적 특성과 부담감, 삶의 질의 관련성을 알기 위해 사용된 방법은 t-Test와 ANOVA, Pearson''''''''s Correlation을 하였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 대한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1.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교육정도와 치료만족도가 낮을수록 부담감이 높았고 환아의 GMFCS가 높을수록 부담감이 높았다. 그 외 종교, 가계수입, 기술습득정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삶의 질과 관련되어서는 교육정도, 가계수입, 치료만족도, 치료 및 교육비지출 등이 삶의 질 점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그 외 중요한 변수인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2. 부담감은 영역별 수준에서 미래의 안녕 영역이 가장 높았고, 경제적 영역, 의존적 영역, 정서적 영역, 돌봄의 평가와 의미 영역 ,조정 및 요구 영역 순이었다.삶의 질 영역별 수준에서는 심리적 영역이 가장 높았으며 신체적 영역, 사회적 영역, 생활환경 영역 순이었다.3. 뇌성마비 환아 어머니의 부담감과 삶의 질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부담감이 높을수록 삶의 질은 유의하게 낮아지는 "역"상관관계를 보였다.4. 삶의 질과 유의하게 관련된 요인인, 부담감과 어머니의 연령, 가계수입, 치료 및 교육비 지출, 그리고 환아의 연령, GMFCS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이들 요인에 대한 삶의 질은 42.3%의 설명력을 보이고 있다.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부담감과 경제적요인, GMFCS 등이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변수로 확인되었으므로 이 요인들을 환아 어머니의 간호중재 시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keeping cerebral palsy(CP) children with mothers'''''''' quality of life index. Data was collected by the researcher with a pilot tested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April 15 to May 27, 2005. A total of 150 mothers with CP children at the Y-hospital were interviewed. Th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are us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disease burden and quality of life index,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keeping CP children on the quality of life index of their mothers by SPSS 12.0.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burden tends to be higher as the level of education of mothers with CP children gets higher, 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gets low and as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GMFCS) of children with CP is higher.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are not found between burden and religion, family income, degree of acquired technique.The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CP children i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rapy and expense of therapy, but the GMFCS i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quality of life index.2. The result of the degree of burden factors is as follows;Future welfare domain has the highest point, followed by the economic domain , independence domain, affective domain, evaluation of care and meaning domain, and the arrangement and demand domain in order.The result of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factors is as followed;The psychological domain has the highest point, followed, in order, by the physical domain, social domain, and the environmental domain.3. There is reverse correlation between disease burden of mothers with CP children and quality of life index, that is, the lower the disease burden,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index.4. The quality of life index shows 42.3% power of explanation when multiple regression is practiced using specifically related factors; disease burden, the age of mothers, monthly income, expense of therapy and education, the age of children, GMFCS.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disease burden, economic factors, and GMFCS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quality of life index, so those factors must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when nursing interventions are taken to the mothers with CP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