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view of chargeable policy for the improve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Authors
기은영
Issue Date
2005
Description
보건의료법 윤리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소방응급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무분별한 구급호출로부터 행정력 낭비를 막고자 소방응급의료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유료화를 검토하고자 한 것이다.현 구급체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응급의료 및 구급대 체계에 관련된 국내.외 서적, 논문 및 정기간행물 등을 참고하였으며 설문을 통해 보다 발전적인 구급서비스 방안모색 및 현재의 구급서비스가 유료화를 통해 기대되는 재정적 수익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구급대원, 일반시민을 임의추출하고 기간 내 실질적인 구급수혜자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3월 21일부터 4월 20일까지 320부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소방응급의료 서비스의 유료화 찬성에 있어 일반시민의 경우 40명(40.40%), 구급수혜자 58명(47.93%),구급대원 87명(87.00%)의 찬성 율을 보이고 있어 일반시민, 구급수혜자의 경우 유료화에 대해 보다 부정적인 사고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유료화가 시행된다면 비 응급 상황에서 구급차를 이용하지 않겠다고 응답한 사람이 47명(47.47%), 구급수혜자 34명(28.10%)로 일반시민의 경우 구급 대를 이용할 때 응급상황보다 자신의 편의, 무료이용을 더욱 선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둘째, 화재 등에서 발생한 응급환자나, 생활 빈곤자, 노약자 등 특별한 보호가 필요한 사람 등 유료화 제외대상자를 제외한 이송대상자 모두를 유료화 하고 유료화 시기는 5년 이후로 고려해야 한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이는 국민의 신뢰와 동의를 바탕으로 유료화를 추진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마지막으로, 구급대 유료화 징수 방법에 있어 일반시민 42명(42.42%), 구급수혜자 49명(40.50%), 구급대원 50명(51.55%)로 전체적으로 의료보험에 포함하여 징수하는 것이 합리적 방법이라 응답하였다. 의료보험에 포함하여 징수하는 것이 사회복지제도의 발달과 사회보장보험의 적용이 가능해 서민의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구급재정을 확충할 수 있는 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따라서 소방응급서비스의 유료화로 구급재정확보와 경미한 환자의 구급 이용자제 및 비응급환자의 감소로 이송실적위주의 구급행정에서 탈피하여 질적 향상을 추구함과 동시 응급환자에 대한 전문적인 처치능력을 인정받고 신뢰를 구축할 수 있다면 소방 응급서비스 유료화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가 어느 정도 희석될 수 있을 것이며, 국민들의 의식전환도 필수적으로 따라야 할 것이다.
[영문]This study is investigates the cause of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for the qualitive improvement and the prevention of wastesment from thoughtless aid call.First, we examine the trouble of present emergency medical treatment service system. We refered to home and foreign publications, articles, periodicals, questions about emergency medical service. We talk about improvement of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system using the earnings from chargeable serviceWe contact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members and common people and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in gyeonggi province. We collected data from 320 cases from 21th, Mar. 2005 to 20th. April. 2005.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is under below.The first, about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 40.40% of common citizens and the 47.93% of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in gyeonggi province and the 87%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members gave their approval. We could know common people go along with free emergency medical service.They say they would not use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 47.47% of common citizens and the 28.1% of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if emergency medical service were changed to the chargeable service.About the use of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the opposite number of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is lower than the opposite number of common citizens.The second, the cases from fire and the extremly poor people and unprotected old man and others excepted from pay list.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makes itself efficient.To the beginning time of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common citizens and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supported for beginning after 5 years. It stands we need at least 5 years for consent and faith of common people before we start the emergency medical service with fee. We have to intensify public relations and staff ability and system, increase the staffs.The finally, about the collection of the fee, the 42.42% of common citizens and the 40.50% of the people who used the service and the 51.55%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members think collecting the fee including with public medical insurance is resonable. Collecting the fee including with public medical insurance strenthens the earnings and reduces the burden of common and poor peopleAs a result,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makes the earnings sound and decreases the inappropriate use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Also, the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 would be improved to much qualitative service from quantitative if we could win public confidence and recognition of medical ability. The qulitative change makes the public understand the necessirity of chargeable emergency medical ser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