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3 436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북한이탈주민의 종교활동과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승주-
dc.date.accessioned2015-11-21T06:33:56Z-
dc.date.available2015-11-21T06:33:5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421-
dc.description국제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남한에 정착한 북한이탈주민의 종교활동을 분석하고 그들의 종교성향이 남한사회에서 경험하는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2001년도 ‘탈북자들의 남한 사회 적응 실태 조사’에 참여한 연구 대상자 200명 중 본 연구에 동의하고 면담이 가능한 149명이다. 2001년 연구 당시 최근 2년 사이에 남한 생활을 시작한 하나원 교육 이수자들로서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들이고 당시 향후 추적 조사를 위한 연구임을 면담자들에게 알려 동의를 얻고 면담을 하였다. 종교성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최영민 등이 개발한 종교성향의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였고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Beck(1961)이 개발하고 한홍무(1986)가 번역한 BDI(Beck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집단간 종교성향과 우울정도 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x2-test와 GLM(General Linear Model)을 이용한 변량분석(ANOVA)을 이용하고 종교상태가 우울정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체 연구 대상자 149명 중 64%가 당시 종교활동을 하였는데 이 중 개신교가 61.1%인 91명으로 가장 많았고 천주교와 비정기적 종교활동 등이 있었다. 종교활동의 경험이 있는 사람 중 종교활동이 어느 정도 이상의 도움을 준다고 대답한 대상은 전체의 84.6%를 차지하였다. 2. 종교활동의 상태나 종류를 바꾼 사람은 종교활동의 경험이 있는 97명 중 전체의 24%에 해당하는 23명에 달하는데 개신교도의 경우 13%에 해당하는 18명이 개신교 활동을 하다가 종교활동을 중단하였다. 종교활동을 중단한 집단의 종교성향을 분석한 결과 종교가 꾸준히 없는 집단을 제외한 나머지 사람들과 비교하여 내재적 종교성향과 외현적 종교성향이 모두 낮음을 알 수 있었다. 3. 종교의 유무에 따라, 종교활동 유지 여부에 따라, 기독교와 비기독교의 차이에 따라 내재적 성향도와 외현적 성향도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우울정도를 증상별로 네 단계로 구분한 집단간에는 종교성향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4. 개신교에서의 이탈 현상이 뚜렷한 집단은 연령대별로는 30대, 성별로는 남자, 거주기간으로는 4년 미만, 북한 학력으로 고등중학교 출신, 가족단위가 아닌 거주자이다. 5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정도는 종교성향, 종교활동 여부에 따라 차이는 없었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도 종교활동이나 종교성향은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북한이탈주민의 종교활동은 그들이 남한사회에 적응하고 생활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긍정적으로 평가되나 그들이 경험하는 우울정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종교성향에 따른 우울정도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추후 연구를 통하여 남한주민보다 높은 우울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에게 보다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영문]This study is to analysis religious activities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settled in South Korea and to explore whether religiosity influences to their depression scales. 149 people who agreed with this study and can be contacted among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conditions in South Korean Society(2001)'' and were conducted. Korean Religious scale that was developed by Young-min Choi is used to evaluate religiosity and BDI(Beck Depression Inventory) is used to measure depression scale. This study compute frequency and percentage to observe social characters in North Korean defectors. Also x2-test and GLM(General Linear Model) is applicated to the difference on religiosit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s used to verify hypothesis which religious status could influence on depress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1. 64% of 149 participants does religious activities. 91 protestants are at the head(61.1%) and Roman Catholicism, irregular activities are followed. 84.6% of religious defectors think their religious activity is helpful. 2. 23 defectors(24%) amo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religion have changed their religious status or sorts. In Protestants, 18 defectors(13%) have quit their religious activities. The group who have quit their religious activities have low religiosity in intrinsic and extrinsic scale compared to other group except those who have no religion. 3. The group have different scale in intrinsic and extrinsic religiosity on religion, religious activities, christianity. But there i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4-depression scale-group. 4. Breakaway phenomenon from Protestantism is clear in group of thirties, men, under-4 year-residence, high-middle school graduates in North Korea, dweller who have no families. 5. There is no difference in depression scale owing to religiosity and religion activity. And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ays that depression scale is not influenced by religion activity and religiosity. Summing up, religious activity of North Korean defectors is thought helpful to adaptation in South Korea. But religious activity has no influence on depression and religiosity can not make difference on depress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북한이탈주민의 종교활동과 우울정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y of religious activities and depression scale in North Korean defector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Sung Joo-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