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4 808

Cited 0 times in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시상면 부정유합의 자연 경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동훈-
dc.date.accessioned2015-11-21T06:30:56Z-
dc.date.available2015-11-21T06:30:5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307-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상완골 과상부 골절은 소아 주관절 골절 중 가장 흔한 형태로 치료 후 여러 가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에는 볼크만 허혈성 구축을 비롯하여 혈관, 신경 손상 및 내반주, 외반주를 포함한 각변형 등이 포함된다. 근래 K-강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면서 볼크만 허혈성 구축의 발생률이 현저히 줄어들었고, 각변형 등에 의한 외형 및 기능장애가 더욱 중요하게 생각되고 있다. 이 중 내반주, 외반주 등 관상면에서의 변형에 대한 연구는 많이 보고 되었으나, 시상면에서의 부정 유합에 대한 임상적 연구는 많지 않다. 1995년부터 2003년까지 영동 세브란스 병원 정형외과에 내원한 소아 과상부 골절 환자에서 술 후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환자 중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의 각변형이 있는 23 례를 대상으로 주관절 운동 범위와의 연관성을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의 재형성 정도를 윌콕슨 부호 순위합 검정(Wilcoxon signed rank sum test)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가 증가할수록 주관절 굴곡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평균 2년 추시에서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의 재형성은 의미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골절 유합 직후 측정값에서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가 증가 할수록 바우만각도(Baumann angle)가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감소하여 관상면과 시상면의 변형이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즉,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시상면의 전방 각 형성이 환자의 주관절 운동범위(굴곡 감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관상면에서의 내반 변형과도 서로 연관성을 가지므로 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을 치료하는데 있어 시상면 각교정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상완골-소두 각도(humerocapitellar angle)의 변화에 대해서는 더 긴 추시 기간을 가지고 연구를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Supra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 is a common injury in children. It is associated with several complication including Volkmann''s ischemia, neurovascular injury and angular deformities. In recent years percutaneous pinning has reduced the incidence of Volkmann''s ischemia, and deformity and functional problem are now the major concerns. A survey of literature revealed many reports about deformity in coronal plane(cubitus varus, cubitus valgus), but there were few studies about malunion in sagittal plane. A retrospective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correlation between sagittal malunion and range of motion of the elbow in 23 patients who admitted to the Young Dong Severance Hospital from 1995 to 2003 and who showed angular deformity in sagittal plane. Also, attempts were made to analyse the amount of remodeling of malunion in sagittal plane. Increased humerocapitellar angle had correlation with decrement of elbow flex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Significant remodeling of humerocapitellar angle was not found during the average 2 year follow-up period. Humerocapitellar angle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aumann angle. Humerocapitellar angle is an important factor to restore the range of motion(especially in flexion) and the reduction even in coronal plane. A longer follow-up period is needed to evaluate the remodeling of humerocapitellar angl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소아 상완골 과상부 골절에서 시상면 부정유합의 자연 경과-
dc.title.alternativeNatural history of malunion in sagittal plane in supra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 in children-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Lee, Dong H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