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04 977

Cited 0 times in

우리나라 성인비만 관련요인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수정-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4:27Z-
dc.date.available2015-11-21T06:24:2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68-
dc.description국제보건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산업화에 따른 경제발전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비만은 중요한 건강상의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비만을 하나의 질병으로 보고 중재가 필요한 건강상태로 분류하고있다. 최근 세계보건기구의 발표에 따르면 선진국에서 수십년간 진행된 비만인구의 증가가 빠른 성장과 더불어 아시아 국가들에서 급격한 상승을 보이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우리나라에서도 비만과 관련된 만성질병인 관상동맥질환이나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들의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 경제적 및 건강관련 행동적 측면에서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진행한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성인 6075명을 대상으로 비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사회·경제적 및 건강관련 행동적 측면에서 관련요인을 구명하고자 시행되었다. 통계분석방법으로는 관련요인별 비만도를 기술분석을 통해 파악하고, t-test, ANOVA로 각 요인별 비만도 차이에 대한 유의성검증을 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비만에 영향을 주는 관련요인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수는 20세 이상 성인 6075명 이었으며, 남녀의 비율은 각각 43%, 57%였다. 평균 비만도는 23.503 이었으며, 남성이 23.709 여성이 23.356으로 남성이 더 비만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크게 일반적특성,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관련 행동요인으로 구분하여 성별, 연령(65세 기준)에 따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65세 미만 남자의 경우 미혼이나 유배우자들에 비해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65세 이상 남성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비만도는 유의하게 낮았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저강도나 중강도직업군보다 고강도직업군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잘사는 편 또는 보통이라고 말한 사람들보다 못사는 편이라고 대답한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그러나 이러한 경향은 연령을 구분하여 시행할 결과에서는 두 그룹 모두 유의하지 못하였다. 남성에 있어서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건강관련 행동요인은 음주 뿐 이었으며,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과 안마시는 사람들에 비해 가끔 음주를 하는 사람들의 비만도가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미만 남성들에게서만 유의하였다. 여성의 비만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연령, 결혼상태, 주거형태, 학력, 흡연이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성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비만도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65세 미만자와 65세 이상인자 모두 동일하였다. 결혼상태는 미혼인 사람들에 비해 유배우자나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비만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남자와 마찬가지로 사별,이혼,별거인 사람들의 증가폭이 더 컸다. 사회·경제적 요인에서는 65세 미만의 여성들에게서 주거형태와 학력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파트에 거주하는 여성일수록, 전문대 이상의 고학력을 가진 사람들일수록 덜 비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건강관련 요인으로는 65세 이상 여성들에서 비흡연자나 과거 흡연자들에 비해 현흡연자의 비만도가 낮았다. 위 결과들을 정리하면 우리나라 성인의 비만도 관련요인 중 연령과 결혼상태의 변화는 남성과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들 수 있으며, 65세 미만 여성에서는 주거형태, 학력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성인의 경우 건강관련 행동요인이 비만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다만, 65세 이상 여성그룹에서 흡연이 비만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기존에 비만의 원인으로 생각하였던 식생활 습관 및 유전적인 요인 외에 연령, 결혼상태와 같은 일반적인 특성과 직업, 학력과 같은 사회·경제적인 요인들도 비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보건정책이나 비만관련 프로그램을 개발시 대상자의 특성에 맞는 사회·경제적인 측면에서 다양한 중재방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Recent years have seen a dramatic rise in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many countries include of Asian societies. Many epidemiological studies have represented that obesity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everal major diseases, coronary heart disease, type2 diabetes, certain malignancies and musculoskelectal disorders. It causes of increasing of mortality rates and health expenditures. In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in Korea, 51% of people is overweight (BMI≥23) and it has been increased than previous survey in 1998.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SES) such as educational level, housing, job, economical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such as drinking, smoking, sleeping, working hours, stress and physical exam with obesity in Korean adult. The contribution of the measured socioeconomic and behavioral factors was assessed using t-test ,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is based on data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2001 carried by Korea Institute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t is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between Nov. to Dec. in 2001. It included 6075 Korean people aged over 20(2612 of men and 3463 of women) who completed interview and physical exam.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ed. The average of body mass index was 23.508. 57.7% of men and 51.3% of women were overweight(BMI≥23). Marital status have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obesity of young men(age< 65). Married but has no spouse(because of death, divorce, or seperation), they were more obese than other groups, after adjustment for age and other risk factors. Age and housing were associated with obesity in old men(age≥65).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ehavioral factors for Korean men except drinking frequency. Men who drink sometimes were more obese than other groups(no drink, drink often). Age, marital status, SES and smoking were each strongly associated with women’s obesity. Age was positive associated with obesity in young women(age<65), while negative associated with obesity in old women(age≥65). SES(housing, educational level) was strongly associated with obesity in young women(age<65). High educational level and apartment regidants decreased the risk of obesity in women.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behavioral factors for women except smoking in over age 65. Now smoking old women was less obese than other groups(non or ex-smokers). In conclusion Korean adult has been shown to hav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demographic factors, SES, and behavioral factors. The obesity rates reported here are considerably higher than previous NHNS in 1998. This prevalence is still lower than the western developed countries, but it is not low any more when we use the BMI standard for Asian-people WHO recommended. And it has been increasing. This is cross-sectional study, so causality cannot be determined from association observed. Therefore I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confirm influence of lifestyle on obesity by repeated and longitudinal stud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우리나라 성인비만 관련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The) relationship of demographic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and behavioral factors to obesity in sample of Korean adult : 사회, 경제, 행동적 요인을 중심으로-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 Soo Jeong-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