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4 841

Cited 0 times in

청장년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봉숙-
dc.date.accessioned2015-11-21T06:22:40Z-
dc.date.available2015-11-21T06:22:40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2005-
dc.description보건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본 연구는 청장년 당뇨병 환자들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들을 밝혀내어, 향후 자기관리 효율을 높이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강원도 원주시 소재의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 내분비내과를 내원하는 청장년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2004년 3월 4일~2004년 4월 5일까지 12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Rand Corportion에서 개발한 SF-36척도를 이용하여, 청장년 당뇨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질환의 대표적인 당뇨병은 조절이 가능하지만 완치가 매우 어려운 질환으로 약물, 식사, 운동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혈당을 조절하는 자기관리와, 적절한 생활습관의 유지가 절대적으로 중요한 질병이다. 그러므로 청장년층의 자기관리가 삶의 질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관한 변수들을 선행연구 결과를 참조하여, 사회인구학적 변수(성별, 연령, 결혼유무, 직업유무, 교육수준, 경제수준), 생활습관 변수(흡연유무, 음주 유무), 질병상태 변수(제1형과 제2형, 합병증유무, 입원경험 유무, 질병기간, 혈당상태), 치료방식 변수(인슐린 사용유무), 자기관리 변수(식사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 자가혈당 측정, 의료정보이용)로 분류한 후 SPSS 11.0을 활용하여 분산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경로분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직업유무, 교육수준, 소득수준, 배우자 유무와 삶의 질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령별, 성별, 배우자 유무와 삶의 질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생활습관과 건강 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에 있어서 흡연유무, 음주유무와의 관계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질병의 특성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는, 제1형과 제2형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질병기간, 합병증 유무, 입원 유무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질병기간이 길고 증상이 많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한 관계가 있었으며, 합병증이 있는 대상자와 입원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삶의 질이 더 낮았다. 혈당상태와 삶의 질과의 관계에서, 식전혈당과 당화혈색소수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헤모그로빈과 헤마토크리트의 수치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3. 치료 및 자기관리와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계에서는 인슐린 사용유무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 인슐린 주사를 맞는 사람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자기관리와 건강관련 삶의 질에 있어서 전반적인 자기관리와, 식사관리를 잘 할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정보를 주로 어디에서 얻는지와 당뇨병 관리에 있어서, 가장 힘든 부분이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주로 의료정보는 의사, 통신(internet, TV), 간호사 순이었고, 식사요법을 가장 어려운 당뇨병 관리로 나타났다. 4.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서는, 연령이 높을 수록 통증요인의 삶의 질이 낮았으며, 전반적인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는 증상요인과 전반적인 자기관리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 사이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청장년 당뇨병 환자들은 낮은 소득수준, 합병증의 동반 및 인슐린 주사등으로 인하여, 삶의 질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식사 및 운동요법에 의한 관리가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당뇨교육 전문 인력에 의한 적극적인 개입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에 가장 많이 영향을 주는 요인은, 증상과 자기관리로서 증상이 적고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은 삶의 질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장년 당뇨병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증상완화와 합병증을 예방하고, 자기관리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지속적인 교육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영문]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analys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s needed in improving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 diabetic patients. For this study, we interviewed 126 adolescent and adult diabetic patients visited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in Yonsei University at Wonju from March 4th, 2004 to April 5th, 2004.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employment, educational years, income level or presence of spouse.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age, sex. Furthermore,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smoking or drinking.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Type 1 & 2 diabetic patients.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health-related QOL and the duration of illness, complications or admission. The health-related QOL was higher 조en the duration of illness was longer or more symptoms were present. The health-related QOL of subjects who had complications and who had experience of admission were lower than those who did not. The health-related QOL was lower when preprandial blood glucose and HbA1c were higher, while the QOL was higher when hemoglobin and hematocrit were higher. 3. In the treatment &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ose who had insulin injection were significantly low in the quality in insulin u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the quality was higher when general self-management and diet management were well-controlled. Meanwhile, the subjects obtained medical information from doctors, the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and TV, and nurses in order, and selected diet to be the hardest factor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4. The pain affected the health-related QOL in elderly group. The symptom and general self-management affected the health-related QOL.-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청장년 당뇨병 환자의 자기관리와 삶의 질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elf-management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 and Adulthood diabetic patient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Bong Su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