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0 553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병원직원들의 노동조합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Factors influencing hospital employees' commitment in labor union 
Authors
 남철식 
Issue Date
2004
Description
병원행정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이 연구는 병원조직관리 측면에서 노조관리 향상방안을 모색하여 조직생활의 질을 높여주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수도권 소재 1개의 대학병원과 3개의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직원 510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4년 4월 26일부터 5월 7일까지 각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행정기술직, 간호직, 의료기사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조몰입 수준은 종합병원이 대학병원에 비해, 연령이 적을수록, 의료기사직이 기타직에 비해, 병원경력과 노조경력이 짧을수록, 노조지위가 높은 군에서 높았다.



2. 만족도 특성요인에 따른 노조몰입 수준은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행정기술직에서 직무에 불만족 할수록 높았으며, 의료기사직의 경우 관리자의 태도에 불만족 할수록 높았다.



3. 직장애착도 요인에 따른 노조몰입 수준은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전 직종에서 직장에 대한 감성적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4. 노동조합관계 요인에 따른 노조몰입 수준은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전 직종에서 노조에 대해 만족도가 높을수록, 동료들의 태도에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높았다. 노사관계 분위기와 노조몰입 수준은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모두 전 직종에서 노사관계 분위기가 좋을수록 높았다.



5. 노조몰입 수준의 중요 영향 요인을 구명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노조몰입 수준은 노조경력이 많을수록, 직무만족 및 관리자의 태도에 불만족 할 수록, 직장에 대한 감성적 애착도는 ‘정(正)’의 상관관계, 노조관계와 노사분위기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특히 대학병원의 경우 노조경력이 많을수록, 노조간부인 경우, 규범적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동료들의 태도 요인이 ‘정(正)’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종합병원은 노조지위가 높을수록, 노조몰입 수준이 높았으며 관리자의 태도 및 운영요인과는 ‘부(否)’의 상관관계, 직장에 대한 감성적 애착수준은 ‘정(正)’의 상관관계, 노조와 동료들의 태도는 ‘정(正)’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6. 직종별 노조몰입 수준의 중요영향 요인은 행정기술직의 경우 남자가 여자에 비해, 노조와 동료들의 태도 등 노조와의 관계와 노조몰입 수준이 ‘정(正)’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간호직은 학력수준이 낮고, 직무에 만족할수록, 직장에 대한 감성적 애착수준이 높은 경우와 노조와의 관계가 좋고 만족할수록 노조몰입 수준이 높았으며, 의료기사직은 직장에 대한 감성적 애착수준이 높을수록 노조몰입 수준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병원경영자는 병원장의 태도 및 경영요인이 노조몰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므로 병원경영의 투명성 제고와 노조에 대한 민주적이고 유연한 자세로의 태도 전환이 필요하며,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대책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종합병원 근무자와 간호직종 근무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요인이 동료 및 상사간의 관계에 대한 측면이므로 원만한 인간관계가 지속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병원노조는 노조에 대한 만족도를 제고할 때 노조몰입은 증대되며, 병원 내에서의 사회화 경험이 노조몰입에 중요한 영향을 주므로 노조에 대해 우호적 태도와 광범위한 지지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는 직무만족, 직장애착, 노사 및 노조관계 및 노조몰입이라는 조직요인들간의 관계를 구명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시하지 못한 제한점은 있지만 노조관리에 대한 연구관심을 자극하고, 미래의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향후 병원직원들의 노조몰입 연구를 위해서는 조직요인들의 종합적인 관계를 판단 평가할 수 있는 좀 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도구의 개발과 함께 이 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eded to enhance quality of organizational life by identifying the improvements of labor union management in the perspective of hospital organization manage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0 employees in 1 University Hospital and 3 General Hospitals in Metro Capital including Seoul.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administrators,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in target hospitals from April 26 to May 7, 2004 through survey questionnair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was higher in younger employees than the older ones, medical technicians than any other occupation in the hospital, those who had worked for shorter period in hospital and labor union and those who had higher positions in labor union.



2.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ir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the administrators both in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were not satisfied in their works. Especially in medical technicians, those who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anagers'' attitude showed higher commitment in labor union.



3.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job dedication level was higher those who had higher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 in all vocations in both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4. The commitment level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labor union involvement was higher in those who had higher satisfaction in labor union and perceived their colleagues'' attitudes more positively in all vocations in both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Regarding the atmosphe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Employer and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the better the atmosphe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Employer was, the higher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was in all vocations in both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5. From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major influencing factors of labor union commitment level, In University hospitals, males than females, and those who had senior officer posts in labor union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attitude of their colleagues. In general hospitals, those who had served in Union for shorter period showed higher commitment in union.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attitudes of union and their colleagues and the atmosp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Union and Employer.



6. When looking into the major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according to their jobs, male administrators showed higher positive correlation in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union. Among nurses, those who had lower education level, those who had higher job satisfaction, those who had higher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 those who had better relationship with union and better satisfaction in union showed higher commitment level. In medical technicians, those who had higher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 showed higher commitment level.



To summarize study results, the level of commitment in labor union depends on job satisfaction, managers'' attitudes, emotional attachment to their jobs, union satisfaction factors, their colleagues attitudes toward union and thee atmosphere of employer-employee relationship. Therefore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democratic and flexible attitudes toward labor union. Additionally, as job satisfaction is important determinant in union commitment, hospital managers should have countermeasure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hospital employees. Moreover, as managerial factors of the principal of hospital influence union commitment directly, the attitudes of hospital managers toward union and transparency of hospital management should be improved.
Files in This Item:
T00818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96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