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수준 평가
| DC Field | Value | Language |
|---|---|---|
| dc.contributor.author | 김정은 |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1T06:21:37Z | - |
| dc.date.available | 2015-11-21T06:21:37Z | - |
| dc.date.issued | 2004 |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21969 | - |
| dc.description | 역학 및 건강증진학과/석사 |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이 연구는 교대 근무하는 간호사와 낮고정 근무자의 건강수준를 비교함으로써 근무형태가 간호사의 건강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그 관련 요인을 분석하여 간호사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함에 있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한 대학병원 3곳을 대상으로 낮고정 근무자 조사응답자 81명, 교대근무 조사응답자 93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8문항, 건강수준 36문항의 총 44문항으로 이루어진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건강수준에 관한 연구도구는 Ware 과 Sherboune(1992)에 의해 고안된 SF-36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낮 고정 근무자의 평균연령은 33.8세로 교대근무자의 평균연령 29.8세 보다 높았으며 낮고정 근무자의 근무경력이 10.9년 이었고, 교대근무자는 7.3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고정 근무자 중 기혼이 79%로, 교대근무자의 37.7%에 비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낮 고정 근무자의 근무부서는 87.7%가 외래에 근무 했으며, 교대근무자의 근무부서는 86%가 병동으로 가장 많았고, 지위는 책임간호사이상이 51.9%로 가장 많았고, 교대근무자는 일반간호사가 68.7%로 가장 많았다. 현 직무 만족도는 낮 고정 근무자가 만족이 74.1%, 불만족은 2.4%인데 반해, 교대근무자는 만족 45.2%, 불만족 9.6%로 낮 고정 근무자의 직무만족도가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수준 항목별 분석결과 사회적 기능, 신체적 역할제한, 감정적 역할제한, 정신건강, 활력, 신체적 동통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대근무자가 낮게 나타났다. 간호사의 건강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근무형태가 전반적으로 건강수준 항목별로 영향을 미쳤으며, 경력이 10년 이하이고, 근무에 만족하고 기혼자 일수록 건강수준도 좋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서 임상 간호사의 신체, 정신건강은 교대근무로 인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간호사를 위한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시에는 임상 경력과 근무 부서에 따른 임상간호 활동과 결혼여부를 고려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간호사가 지속적이고 효율적인 간호 업무수행을 통해 간호의 질 보장을 하기 위해서 간호사의 신체, 정신 건강유지 및 증진은 중요한 문제이므로 계속적으로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찾아내고 개선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Objective: This study was to compared the health condition between shift workers and day-fix workers, understand how their working patterns affect nurses'' health condition and what the factors so that it would help their health care.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81 day-fix workers and 93 shift workers in three general hospitals in Gyunggi and Seoul. A structuralized questionnaire was used as its tool, which was composed with total 44 questions, 8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36 of health conditions respectively. As a research tools for evaluating healthiness, SF-36 questionnaire, which was designed by Ware and Sherboune(1992). Results: After analyzing each categories of health condition by working patterns, meaningful differences were shown in social function, physical role limitation, emotional role limitation, mental healthiness, vitalities, physical pain, for which shift workers had lower percentage. Among main factors influencing nurses'' health condition, working patterns affect general categories of healthiness. People who had worked at most 10 years, who were contented with the job, and who were married were in sound health condition. Conclusion: As seen above results, we could see that nurses have much influences from shift work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care their health with considering their working history, the department of jobs and marital status when developing health improving program for nurses. Since keeping and improving their physical and mental healthiness is important in order to keep nursing quality with constant and effective nursing work, we need to keep studying what factors could influence their health and finding out its solution. |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open |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 dc.title | 종합병원 간호사의 근무형태에 따른 건강수준 평가 | - |
| dc.title.alternative | Health evaluation of general hospital nurses by their working pattern | - |
| dc.type | Thesis |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Kim, Jung Eun |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