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620

Cited 0 times in

토끼의 난소 과자극 증후군 유발에 미치는 내인성 angiotensin II의 작용 및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의 치료효과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원일-
dc.date.accessioned2015-11-20T06:02:44Z-
dc.date.available2015-11-20T06:02:44Z-
dc.date.issued199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313-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난소 과자극 증후군은 불임 치료를 위한 배란 유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가장 심각한 합병증이다. 근래에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발생 빈도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 질환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그 발생 기전은 불분명하다. 기본적인 병리 기전이 혈관의 투과성 증가에 의한 체액의 삼출이라는 것에는 아무런 이견이 없으나,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원인 물질은 아직 불분명한 상황이다. 현재까지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유발 물질로서 가장 가능성이 높다고 추측되는 물질은 안지오텐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원인 물질이 안지오텐신이라는 것을 규명하고, 안지오텐신을 감소시킬 경우에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임상적 양상을 호전시키거나 예방할 수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자성 토끼에게 난소 과자극 증후군을 유발시킨 다음, 혈액 및 복수 내에 존재하는 혈관의 투과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인 프로스타그란딘과 안지오텐신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고, 혈관 투과성 증가의 지표인 복수의 양, 헤마토크리트의 변화와 안지오텐신과의 상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난소 과자극 증후군을 유발시킨 다음 개복 수술을 시행하여 토끼의 난소 동맥 내로 Microfil을 관류시켜 난소에 분포하는 혈관을 고정한 다음 난소 조직을 제거하고 혈관의 형태를 관찰하여 미세 혈관의 분포 양상이 안지오텐신의 농도 변화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난소 과자극 증후군을 유발시킨 다음 실험군에 대하여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인 Captopril을 투여한 후, 대조군에 비해 난포호르몬, 프로스타그란딘과 난소의 크기, 복수의 , 헤마토크리트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하여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의 임상적 예방 효과를 시험하였다. 실험 결과 난소 과자극 증후군에서 안지오텐신의 농도가 현관의 투과성 증가의 지표인 복수의 양, 헤마토크리트의 증가와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으며 또한 난소의 크기, 난포호르몬 및 프로스타그란딘의 농도와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난소 과자극 증후군에서 안지오텐신의 농도가 높을 때 모세 혈관의 분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상관 관계는 증명할 수 없었다. 그리고 난소 과자극 증후군이 발생하거나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를 이용하여 안지오텐신의 농도를 저하시키면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임상적 증상을 호전시킬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는 난소 과자극 증후군의 예방에 분명한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임상적 적용을 시도할 가치가 충분하다고 사료된다. [영문]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is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 during ovulation induction. Although the incidence of this disease is increasing, the pathophysiology remains uncertain. Consensus is that main pathophysiology of the disease is increased vascular permeability, but the etiologic agent causing hyperpermeability is still unknown. Prostaglandin, histamine, angiotensin, some cytokines and growth factors have been suspected to be the etiologic agents. At present, angiotensin is mostly suspected agent of this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etiologic role of angiotensin Ⅱ in ovarian hyperstimulation and to assess the therapeutic or preventive effect of lowering angiotensin Ⅱ by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After developing of ovarian hyperstimulation in rabbit, Captopril were administered in study group. The correlations between angiotensin Ⅱ and clinical parameters of severity of the disease such as ovarian volume, amount of ascites or changes of hematocrit were assessed. The correlations between angiotensin Ⅱ and prostaglandin or estradiol were also assessed. The Microfil was perfused through the ovarian arteries and morphology of vascularities were resealed. The differences in ovarian volume, amount of ascites, changes of hematocrit, prostaglandin and estradiol were assessed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 The parameters of severity of ovarian hyperstimulation were closely related with the level of angiotensin Ⅱ. The levels of prostaglandin and estradiol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angiotensin Ⅱ. The degree of vascularity tended to be increased in control group, but the individual variations were existed. The parameters of severity of ovarian hyperstimulation were markedly improved in Captopril group. In conclusion, angiotensin Ⅱ is related with development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 can prevent the development of this disease.-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토끼의 난소 과자극 증후군 유발에 미치는 내인성 angiotensin II의 작용 및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의 치료효과-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endogenous angiotensin II in developing overian hyperstimu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79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Won Il-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