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21

Cited 0 times in

Cited 0 times in

진핵세포에서 혈액 응고인자 VIII의 발현 유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수-
dc.date.accessioned2015-11-20T05:57:14Z-
dc.date.available2015-11-20T05:57:1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8101-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지금까지 혈우병 A의 치료는 사람 혈장에서 분리한 혈액 응고인자 Vlll(FVlll) 단백질 제제의 정맥주사에 의존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바이러스 감염등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으며 건강한 혈액의 공급도 제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조합 FVlll 단백질 을 진핵세포에서 효과적으로 발현시킬 목적으로 CMV 바이러스 promoter와 mouse metallot hionein I(MT-I) promoter를 삽입한 진핵세포 발현 vector에 B-domain을 제거한 FVlll(FV lll-B)cDNA를 삽입하여 FVlll-B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는 pCMVVlll-B와 pMTVlll-B vector 를 제조하고 이를 Chinese hamster ovary(CHO) 세포에 전입시켜 FVlll-B 단백질의 합성과 분비를 유도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pCMVVlll-B 또는 pMTVlll-B를 전입시킨 CH O 세포에서 FVlll-B cDNA로부터 전사된 mRNA를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을 실시하여 확 인하였으며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하였을 경우 발현 vector를 전입하고 72 시간 동안 배양한 후 pCMVVlll-B를 전입시킨 CHO 세포나 pMTVlll-B를 전입시킨 CHO 세포 에서 FVlll-B mRNA가 모두 감지되었으나 G4l8을 처리하여 계대배양한 세포에서는 FVlll-B mRNA가 감지되지 않았다. FVlll-B 발현 vector를 전입시키고 72시간 배양한 후 CHO 세포 배양액에 나타난 FVlll-B 단백질을 ELISA방법으로 측정한 결과 pCMVVlll-B 전입군에서는 7.0, 49.6, 58.3 mEqU/ml의 FVlll이 검출되었고 pMTVlll-B 전입군에서는 9.9, 16.0, 44. 3 mEqU/ml의 FVlll이 감지되었다. 또한 같은 배양액에 나타난 FVlll 활성도는 pCMVVlll-B 전입군은 0, 29.6, 39.6 mU/ml인 반면 pMTVlll-B 전입군에서는 0, 3.7,10.3 mU/ml이였다 . 이상과 같은 결과는 pCMVVlll-B 혹은 pMTVlll-B가 전입된 CHO 세포로부터 생물학적 활 성이 있는 FVlll 단백질이 합성되어 세포 밖으로 분비되고 있음을 입증해 주고 있다. [영문]-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진핵세포에서 혈액 응고인자 VIII의 발현 유도-
dc.title.alternativeInduction of the expression of human blood coagulation factor VIII in eukaryotic cell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86-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oung Soo-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