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854

Cited 0 times in

진폐증 유소견자들의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성군-
dc.date.accessioned2015-11-20T05:50:18Z-
dc.date.available2015-11-20T05:50:18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28-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우리나라에서 흔한 직업병 중의 하나인 진폐증은 주로 석탄광업 근로자에게서 발견되는 탄광부 진폐증이다. 그러나 근래에 와서는 제조업의 분진폭로근로자에서 뿐만 아니라 대기오염에 의한 진폐증이 일반 주민에게도 발생되고 있어 적지 않은 사회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년도 처음으로 근로자 건강진단이 실시되었고 1972년 부터 유해부서 근로자들의 건강관리를 위하여 특수건강진단제도를 도입한 후 여러차례 변화를 겪으면서 특수건강진단제도가 근로자의 직업병 예방 및 건강보호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다. 특수건강진단은 직업병 유소견자 발견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더 중요한 것은 이들에 대한 사후관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 일부지역 제조업종의 분진폭로 사업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1991년도 부터 1993년 까지의 3년간의 특수건강진단 결과 진폐증유소견자로 판정받은 22개 사업장 43명의 사후관리실태에 대해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진폐증 유소견자로 판정받은 43명중에서 특수건강진단 결과를 통보받았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40명(93.0%)이었으며, 통보받지 못했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3명 (7.0%)이었다. 2. 22개 사업장 ,73명의 진폐증 유소견자 사후관리는 보건관리자 유무 및 회사의 직업병에 대한 관심도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3. 진폐증 유소견자로 판정받은 43명중 요양신청을 하였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24명(55.8%)이었으며 요양신청을 하지 못했다고 응답한 근로자는 19명(44.2%)이었다. 4. 진폐증 유소견자 사후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였던 이유는 이용방법을 몰라서 28명(65.1%), 경증이라서 6명(14.7%), 경제적 이유 3명(7.0%), 의논상대가 없어서가 1명(2.3%)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진폐증 유소견자로 판정된 근로자가 사후관리의 실행을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사업주와 보건관리자의 직업병 유소견자에대한 관심과 보건관리자의 사후관리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중요하며, 이에 따른 요양지도가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Most of the pneumoconiosis, which is common occupational diseases, is found here in Korea can be categorized to coal miner's pneumoconiosis. However, recently pneumoconiosis has been found not only in the workers of manufacturing factories, but also in some residents who are exposed to air pollutants. Periodic health examination is important not only detection of occupational disease but also post management of occupational disease patient. Accordingly, to study post-management states of workers with pneumoconiosis diagnosed from 1991 to 1993 in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all 43 pneumoconiosis patients in 41 manufacturing factories in Incheon were examined.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Among the respondents, 40 workers (93.0%) answered that they received their personal health examination report while 3 workers(7.0%) did not. 2. Post-management states of the workers diagnosed as pneumoconiosis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presence of health manager and concerning of occupational disease by employer. 3. Among 43 workers, 24 workers (55.8%) had received further examination while 19 workers (44.2%) did not. 4. Reason for not taking the post-management well were as follows; Ignorance of adminstrative action of compensation for 28 workers(65.1%), mild state of disease for 6 workers (14.7%), financial problem in 3 workers (7.0%).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cerning of health manager and that of employer about occupational disease patients and more detailed interpretation of post-management advice by health manager be the most important matters in performing for more appropriate post-management of pneumoconiosis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진폐증 유소견자들의 사후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follow-up survey of workers with pneumoconiosis detected in the periodic health examinat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8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ung Goon-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