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569

Cited 0 times in

인천시 대기중 오존농도 변화 추이와 영향인자 : 1990년~1993년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춘석-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9:53Z-
dc.date.available2015-11-20T05:49:53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13-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문제는 아황산가스와 분진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나 , 에너지 정책의 전환과 교통량의 급격한 증가등으로 오존과 같은 2차 오염물질이 중요한 대기오염 물질로 대두되었다. 인천시는 인구가 2백만명 이상의 대도시이며, 대기오염 물질을 대량 배출하는 시설이 많아서 심각한 대기오염과 이에 의한 피해가 예상외는 지역이며 더욱이 도시 기간 시설과 산업 시설 확충등으로 대기오염 물질 배출 시설은 수와 규모에서 모두 현저히 증가되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시의 산업 시설의 증가와 교통량의 증가에 따른 대기오염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기오염 고정측정망 설치 지역인 숭의동, 부평동, 구월도 지역을 대상으로 1990년부터 1993년 4년 동안의 대기오염 물질과 기상 인자에 대한 시간 평균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오존 농도에 영향하는 인자를 상관 분석과 중회귀분석을 통하여 지역별, 계절별, 연도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존 농도의 일중변화는 03-05시 사이에 약간 증가 현상을 보였다가 08시경에 일중 최저치를 보였으며, 이후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시경이 최고 농도를 나타내었고, 지역, 연도별, 계절별로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오존의 계절별 농도 분포는 대상지역 모두에서 여름이 가장 높았고, 봄, 가을, 겨울의 농도 순이었으며, 월별 오존 농도의 분포는 지역적으로 다소 차이는 있으나, 6월에 연중 최고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1월에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오존 농도와 영향인자간의 상관성은 계절, 지역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SO2, CO, 일사량이 순상관관계를(P<0.01), TSP등이 연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단계분석에 의한 오존농도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숭의동에서 CO, TSP, 일사량이며 구월동에서는 일사량, NO, SO2 의 순서로 나타났다. 인천시의 오존오염 및 대기오염의 특징은 해안에 인접한 구월동 지역과 분지형의 부평동 지역에서 뚜렷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양상은 주위의 배출원과 지형에 따라 결정된다 하겠다. 따라서 인천시의 대기오염 저감 대책의 수립시 지형적 고찰이 중요하 다 사려되며, 특히 구월동지역의 특성을 감안하여 앞으로 남동공단에 대한 오염 연구가 보다 깊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zone concentration and the factors to be influenced the variation of its concentration in the ambient air in Inchon. The one-hour average concentration of O3, SO2, TSP, NO2, NO and CO at 3 monitoring stations in Inchon measured from 1990 to 1993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long with meteorological data(solar radiation, atmospheric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cloud amount,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for the same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diurnal patterns of hourly ozone concentrations have 2 to 4 p.m peak. 2. The Concentration ratio between NO and NO2 at Sunguidong was relatively lower than that of the Pupyong and Kuwoldong. 3. The ozone concentr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O2, CO and solar radiation (p<0.01) but negatively correlated to TSP. 4.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ozone concentration the pollutants and meteorological factors indicate that CO, TSP and solar radiation were the primary influencing factors at Sunguidong but solar radiation, NO and SO2 were the primary influencing factors at Kuwoldong.-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인천시 대기중 오존농도 변화 추이와 영향인자 : 1990년~1993년간-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variation and influencing factors on ozone concentration in the ambient air in Inchon : during 1990 and 1993-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e, Choon Suc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