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531

Cited 0 times in

간호사 채용시험 성적과 근무성적의 상관성 : 한 대학병원에서의 적성검사와 실기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원자-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9:32Z-
dc.date.available2015-11-20T05:49:32Z-
dc.date.issued199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800-
dc.description보건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인력관리에서 우수한 인력을 선발하는 문제는 현대조직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이다.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직무수행능려고가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적합한 사람을 선발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보다 과학적인 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양질의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우수한 자질을 갖춘 간호사를 선발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 대학병원에서 1991년 부터 1993년 까지 채용된 296명의 간호사를 대상으로 채용시험 제도를 검토한 것으로 그 중 특히 필요성이 클것으로 기대되는 적성검사 및 실기시험 성적과 채용 후 근무성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채용시험성적과 근무성적의 상관관계를 보면 실기시험은 근무성적 중 지식이나 기술적인 면을 평가하는 직무의 량, 직무의 질, 지식 및 기술, 이해력, 판단력, 응용력, 근무상황, 총점 등 근무성적의 거의 모든 부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적성검사는 일부년도에서 근무성적 중 직무의 량, 지식 및 기술, 근무상황부문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2. 근무성적의 각 항목에 영향을 미치는 채용시험을 분석한 결과 가. 각 채용시험은 근무성적 중 직무의 량 부문을 16.45% 예측하였으며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실기시험과 학력이었다. 나. 각 차용시험은 근무성적 중 직무의 질 부문을 23.63% 예측하였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실기시험과 면접시험이었다. 다. 각 채용시험은 근무성적 중 지식 및 기술 부문을 26.90% 예측하였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실기시험과 학력이었다. 라. 각 채용시험은 근무성적 중 이해력, 판단력, 응용력, 적성부문을 18.44% 예측하였으며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적성검사 중 대인자질부문과 면접시험이었다. 마. 채용시험 중 어느것도 근무성적 중 책임감, 적극성, 협조성 부문은 전혀 예측하지 못하였다. 바. 채용시험 중 어느것도 근무성적 중 근무상황부문을 전혀 예측하지 못하였다. 사. 종합적으로 채용시험은 근무성적 총점부문을 17.38% 예측하였으며 그 중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는 실기시험이었다. 이를 시험과목별로 보면 실기시험은 주로 업무의 지식이나 기술적인 면을 예측하였고 적성검사는 이해, 판단, 응용, 적성 부분만을 예측하였으므로 지식이나 기술은 실기시험으로 측정하고 환자와의 관계, 정서적 지지 등에 관한 자질은 적성검사로 선별하는 등 두 시험을 조화롭게 잘 활용한다면 인사선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보면 우수한 간호인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시험과목에 실기시험과 적성검사를 포함시킬 필요가 있으며, 또한 간호업무에 대한 적성여부를 더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적성검사 도구를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Good patient care requires the employment of nurses of high quality. Practice and aptitude tests can be useful parts of the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but their values have not been evaluat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validities of practice and aptitude tests in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From 296 nurses newly employed in a university hospital during 1991 and 1993, their scores of practice and aptitude tests and working performance rating were analy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and aptitude tests and working performance rating was significant (p<0.05); Practice test predicted correctly and significantly one's work amount, work quality, knowledge and skill, comprehension, decision, and application, fidelity of duty on the items of working performance rating. Also, aptitude test showed correlation with work amount, knowledge and skill, fidelity of duty of working performance rating in certain years. 2. Effects of practice and aptitude tests on the various items of performance rating(P<0.05); (1)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predicted the degree of 16.45% of work amount on performance rating. Practice test and background of academic career of them were significant. (2)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predicted the degree of 44.56% of work quality on performance rating. Practice and oral tests of them were significant. (3)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predicted the degree of 26.90% of knowledge and skill on performance rating. Practice test and background of academic career of them were significant. (4)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predicted the degree of 18.43% of comprehension, decision and application on performance rating. Personal relationship an item of aptitude test and oral test of them were significant. (5)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did not predict responsibility, positivity, and cooperation on performance rating. (6)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did not predict fidelity of duty on performance rating. (7)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predicted the degree of 17.83% of total scores on performance rating. Practice test of them was significant. Above results revealed that practice test mainly predicted the working performance in the aspects of knowledge and skill, and that aptitude test predicted it in the aspects of comprehension, decision, and application. So proper combination of two tests could be very useful for nursing employment. In conclusion, practice and aptitude tests should be included in the employment examination for selecting nurses with high quality and potentiality who will show good performance rating.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the tool of aptitude test which are more specific for nursing job.-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간호사 채용시험 성적과 근무성적의 상관성 : 한 대학병원에서의 적성검사와 실기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Relationship between nursing employment examination and work performance in a university hospita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02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i, Won Ja-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