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730

Cited 0 times in

목정맥구멍부위의 국소해부 및 형태계측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전제술-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6:22Z-
dc.date.available2015-11-20T05:46:2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75-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근래 머리 부분 수술 방법의 발달로 뇌바닥쪽에 생긴 질환의 치료를 위하여 측두골 아래쪽으로 접근하는 수술법이 개발되고 목정맥구멍 주위의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도 이러한 수술을 시행한 후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며 그 이유의 한가지로는 이 부위의 국소해부학적 관계가 불분명하여 수술에 필요한 해부학적 지표가 명확히 제시되지 못하는 것이 그 원인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목정맥구멍을 통과하는 뇌신경들과 목정맥위팽대 및 아래암석정맥동의 관계를 관찰하여 그 국소해부학을 명확히 함으로써 수술시 지표가 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며, 또한 머리뼈에서 목정맥구멍의 형태를 관찰하여 한국인의 종족 특성을 밝히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재료로는 한국 성인 머리뼈 120개와, 머리 50쪽을 대상을 하였으며, 마른뼈에서는 목정맥구멍의 형태적 특성을 관찰하고, 머리는 수술현미경 하에서 해부하여 목정맥구멍을 열고 이곳을 통과하는 구조들의 경로와 주위 관계들을 관찰한 후, 수술할 때 기준점으로 삼을 수 있는 환추골가로돌기를 기준으로 계측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인은 목정맥구멍 속에 뼈다리가 18.3%에서 출현하였으며, 다른 종족보다 비교적 그 출현 빈도가 높았다. 2. 아래암석정맥동 가로부분의 폭은 서양인보다 작았고, 목정맥구멍으로 들어갈 때 설인신경과 미주신경 사이로 지나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67%), 속목정맥으로 열릴 때는 설인신경과 미주신경 사이로 대부분이 주행하였다(86.7%). 아래암석정맥동이 머리뼈 바깥으 로 열리는 것은 33.3%였으며, 이러한 경우는 환추골가로돌기에서 평균 7.8mm 위쪽에서 열렸다. 3. 목정맥구멍 속으로 들어갈 때 뇌신경들의 위치를 살펴보면, 설인신경은 외측 앞쪽에 미주신경은 내측중간에 부신경은 뒤쪽에서 이들 사이에 있었던 것이 가장 많았다(60%). 4. 목정맥구멍과 환추골가로돌기 사이 직선거리는 평균 22.3±3.1mm였다. 5.설인신경은 목정맥구멍을 빠져나온 후 바로 속목동맥 뒷면에 있었으며, 경상인두근과 나란하게 속목동맥을 비스듬히 가로지르는 것이 44.5%였고, 속목동맥의 앞모서리에서 목정맥구멍까지 설인신경의 평균 길이는 20.4±5.9mm였다. 6. 목정맥구멍을 빠져나올 때 미주신경은 설인신경과 속목동맥의 뒤쪽에 있었으며, 두 신경 사이의 거리는 평균 4.2mm였다. 7. 부신경의 바깥가지는 목정맥구멍 속에서 나뉘었고, 속목정맥과 속목동맥 사이로 나온 후 속목정맥의 외측 표면을 가로지르는 것이 가장 많았다(68.7%). 8. 설하신경관의 바깥 입구는 미주신경의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78.9%). 환추골가로돌기에서 설하신경관까지의 직선거리는 평균 27.8±3.4mm였다. 설하신경은 67.5%에서 미주신경과 부신경 사이로 나왔으며, 미주신경의 외측 표면을 따라 평균 16.1±4.9mm 주행하였다. 9. 뒤뇌막동맥은 81.8%에서 목정맥구멍으로 들어갔으며, 목정맥구멍으로 들어갈 때는 설인신경과 미주신경 사이에서 이들보다 안쪽으로 들어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77.8%). 저자가 이 연구에서 조사한 목정맥구멍의 비계측적 특성은 한국인과 다른 종족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쓰일 것이며, 목정맥구멍을 통과하는 구조들과 이들의 국소해부학적 관계에 대한 결과로서 지금가지 분명하지 않던 여러 구조들을 구명하였으며, 목 정맥구멍부위의 수술을 시행할 때 이러한 결과들을 참고로 한다면 수술 후 나타나는 여러 합병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영문] Recently, various surgical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treatment of the lesions of the skull base and by the infratemporal approach,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region of the jugular foramen. However, many post-operative complications would be appeared from the surgical trauma, and one of the reasons is that the surgical anatomy of the region is not well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ritical data which is useful in surgery of the region, and presenting the racial characteristics of Koreans, the relationships of the cranial nerves, the jugular bulb, the inferior petrosal sinus in the jugular foramen and the topographical anatomy of the skull base around the foramen was studied with the one hundred and twenty dry skulls and the fifty sides of Korean adult heads. In dry skull the shape and bony bridge of the jugular foramen were observed, and in the fifty sides heads were dissected and observed under the surgical microscop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prevalence of bony bridge in the jugular foramen was 18.3% in Koreans, the incidence was compared with other races. 2. The width of the inferior petrosal sinus(IPS) of Koreans was smaller than that of Caucasian. At the entrance of the jugular foramen, IPS running between the glossopharyngeal and vagus nerves was mostly observed(60%), and at the junction with the internal jugular**vein IPS ran between the glossopharyngeal nerve and the vagus nerve in the most(86.7%). In 33.3% of the cases, IPS opened into the internal jugular vein outside of skull, and the site was located above at an average distance 7.8mm from the transverse process of the atlas. 3. In the most cases(67%) the glossopharyngeal nerve lies anterolaterally and the the vagus nerve lies medially and the accessory nerve lies posterointemediate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oramen. 4. The average distance from the transverse process of the atlas to the jugular foramen was 22.3±3.1mm. 5. Just outside the foramen, the glossopharyngeal nerve was just posterior to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Passed laterally and traversed the internal carotid artery obliquely parallel to the stylopharyngeus muscle(44.5%). The average length of the nerve running between the anterior border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jugular foramen was 20.4±5.9mm. 6. Just outside the foramen, the vagus nerve was posterior to the internal carotid artery and the glossopharyngeal nerve and the average distance between the nerves was 4.2mm. 7. The internal and external branches of the accessory nerve was divided in the foramen, and the external branch passed between the internal jugular vein and the internal carotid artery to cross the lateral surface of the vein in the most cases(68.7%). 8. In 78.9%, the orifice of the hypoglossal canal was located superomedially to the vagus nerve. The hypoglossal nerve passed between the vagus and accessory nerves in 67.5%. It ran along the lateral surface of the vagus nerve with an average distance of 16.1±4.9mm. 9. The posterior meningeal artery entering the jugular foramen was observed in 81.8% of cases. As it entered the foramen, it lies between the glossopharyngeal and vagus nerves and medial to them in 77.8% of the cases. Summarizing the above results, the anthro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the microsurgical relationships of the cranial nerves and vessels in the jugular foramen region are intricate. Precise knowledge of these relationships can aid the surgeon in achieving successful resection of Pathologic lesions in this region without extensive cranial neuropathie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목정맥구멍부위의 국소해부 및 형태계측-
dc.title.alternativeTopographical Anatomy and Measurement of the Jugular Foramen Region-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510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un, Je Sool-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