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1140

Cited 0 times in

Banff분류법을 이용한 신장이식 거부반응의 조직학적 진단과 이식신의 예후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창권-
dc.date.accessioned2015-11-20T05:46:06Z-
dc.date.available2015-11-20T05:46:06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766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이식신의 생존율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만성거부반응은 조직생검으로 확진되며, 거부반응이 진단된 경우에도 거부반응의 정도와 이식신의 손상정도는 다양할 수 있다. 거부반응의 분류를 단일화하기 위하여 1991년 8월에 Canada의 Banff에서 Working Classification이 제정되었으며, Banff분류는 병리조직학적 조직의 손상에 따른 거부 반응의 정도를 반영한 것으로 생검당시 이식신기능의 정도나 생검후 이식신의 예후등 임상적인 연관 성을 보고된 바없다. 이에 저자는 Banff 분류법에 따라 급성 혹은 만성거부반응의 정도를 분류하여 조직학적 등급이 생검당시 이식신의 상태를 반영하는지 평가하며 생검후 이식신의 예후를 추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환자는 연세대학교 부속 세브란 스병원에서 신장이식수술을 시행받고 추적관찰중 이식신 조직 생검을 하여 급성이나 만성거부반응의 소견이 있었으며 생검이후 최소 6개월간의 추적 관찰이 시행된 157예에서 조직소견을 Banff분류법에 따라 분류하고 생검당시의 신기능과 생검이후 이식신의 생존율을 비료하였다.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비교할 임상적 지표로는 이식수술수 조직생검까지의 기간, 조직생검 당시의 혈중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 상승도(delta creatinine: 생검직전 혈중 크레아티닌 - 크레아티닌 상승이전 평소의 혈중 크레아티닌), 단백뇨의 정도, 이식신의 생존율의 차이등을 BMDP(Bio-Medical Data Processing)을 이용하여 ANOVA(analysis of variance), life table에 의한 생존율로 검증하였다. 대상환자 157예중 혈관변화나 사구체의 변화가 없이 신간질의 섬유화와 신세뇨관의 위축의 소견만 있는 경우 (TA,IF: tub ular atrophy and interstitial fibrosis) 19예와 만성거부반응만의 소견이 97예에서, 급성 거부반응의 소견이 경계의 변화(borderline change) 2예를 포함하여 18예에서 있었으며, 12예에서는 급성 및 만성거부반응의 소견이 동반되었다. 만성거부반응의 소견만 있던 97예에서 수술후 생검까지의 기간이 길수록 만성거부반응의 조직변화가 심하였으며 조직학적 등급에 따라 생검당시의 혈중 크레아티닌치 및 생검전 크레아티닌의 상승도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단백뇨의 정도는 조직학적 거부반응의 등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동반된 사구체의 병변과 매우 밀접하여 막성사구체신염, 이식 사구체신증이 동반된 경우 현저하였다. 생검이수 이식신의 생존율은 조직학적 등급이 이식신의 임상적 상태를 반영하지 못하였으나, 경도의 만성거부반응의 소견이 있던 99 예에서 급성거부반응의 소견이 동반된 경우 이식신의 1년 생존율이 56.0%로 급성거부반응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89.8%에서 비해 현저히 감소되었다.(p=0.0004). 이상의 결과로 만성거부반응의 조직학적 등급은 혈중 크레아티닌 치와 이식신의 예후에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단백뇨의 정도는 동반된 사구체 병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급성거부반응이 만성거부반응과 동반된 경우 이식신의 예후가 불량하므로 동반된 급성거부반응의 치료를 적극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The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of criteria for the histologic diagnosis of renal allograft rejection was estabilished in Banff, Canada on August 1991 to promote international uniformity in reporting of renal allograft pathology and to facilitate the performance of multicenter trials of new therapies in renal transplantation. In this schema, acute and chronic rejection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histologic severity of involvement of rejection. The author examined the clinical status(serum creatinine, delta creatinine, the amount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at the time of biopsy and graft survival after biopsy according to the grade of rejection to assess the clinical validity of Banff schema in patients with biopsy-proven graft rejection. In the patients with biopy-proven chronic rejection, the serum creatinine and delta creatinine at the time of biopsy were statistically correlated to the grading of chronic rejection. But the histologic severity of chronic rejection has no impact on the amount of urinary protein, The amount of urinary protein excretion is closely linked to the type of associated glomerular lesions such as transplant glomerulopathy of membranous glomerulonephritis with which the patients had nephrotic range proteinuria. The graft survival rates after biopsy are significantly diversified by the histologic grading of chronic rejection. In 18 patients with biopsy-proven acute rejcetion, the clinical correlation was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 this study. The patients with acute rejection superimposed on chronic rejection had poorer prognosis than those without acute component.-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Banff분류법을 이용한 신장이식 거부반응의 조직학적 진단과 이식신의 예후-
dc.title.alternativeBanff classification of renal allograft rejection and graft survival-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2404-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1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Chang Kw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창권-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Surgery (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