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임혜숙 | - |
dc.date.accessioned | 2015-11-20T05:23:29Z | - |
dc.date.available | 2015-11-20T05:23:29Z | - |
dc.date.issued | 1991 | - |
dc.identifier.uri |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798 | - |
dc.description | 보건간호학과/석사 | - |
dc.description.abstract | [한글]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정도를 알아보고 사회적 지지와 부담감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정신질환자 가족의 간호계획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기술적 연구로서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2개 종합병원 정신과에 입원하고 있거나 외래치료를 받는 환자와 함께 생활하고 있는 가족 중에서 환자의 간호를 주로 담당하고있는143 명을 대상으로 하여 1991년 4월 4일부 터 4월 2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Montgomery의 주관적 부담감 측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자가 만든 주관적 부담감측정도구와 Brandt와 Weinert가 개발하고 조광제가 번역 사용한 PRQ(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 PARTⅡ를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고 실수, 평균, 백분율,t-test, ANOVA, Pearson상관관계의 통계방법으로 분석처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질환 간호담당자가 인지한 부담감은 가능점수 15점-75점에 대하여 평균점수 44.1점이었으며 평점은 최대점수 5점에 대하여 2.9로 나타나 정신질환 간호담당자들의 부담감 점수가 보통보다 약간 낮게 나왔다. 둘째, 정신질환 간호담당자가 인지하는 사회적 지지정도 분석에서는 가능점수 25-125점에 대하여 평균점수 88.7점이었으며 평점은 최대점수 5점에 대하여 3.5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질환 간호담당자의 사회적 지지정도와 부담감과의 관계에서는 역 상관관계를 보여 간호담당자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부담감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정신질환 간호담당자의 부담감은 정신질환자가 입원경험이 없는 경우보다 입원경험이 있는 경우에 부담감이 더 많았고(t=2.74, P<.05), 진단명으로 볼 때는 신경증보다 정신증에서 부담감이 더 많았고 기질성뇌증후에서는 부담감을 적게 나타냈다(F=2.99, P<.05). 환자의 상태에 대해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는 간호담당자가 부정적인 느낌을 가지고 있는 간호담당자보다 부담감을 적게 느꼈고(F=9.24, P<.001), 입원횟수가 많을수록(r=.35, P< 001) 입원기간이 길수록(r=.27, P<.05)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부담감을 많이 느낀 것으로 나타나 간호담당자의 부담감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고 간호담당자의 요인과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영문]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What is quantities of burden on family caregivers? 2) How much social support is given to the family caregivers? 3) Does socal support effect the level of family caregivers' burden? The subjects were 143 family caregivers who supported the patients(n=99) receiving the out-patient treatment or the patients(n=44) receiving the admission treatment in the psychiatric ward of two general hospitals.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Personal Resource Questionnaire(PRQ Part Ⅱ) developed by Brandt and Weinert, and a modified Subjective Burden Scale based on Montgomery. The results of this sy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ubjective burden, for the family caregivers, 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was 44.1 of a possible total of 75. 2. The mean scor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for the family caregivers who live with a mentally ill patient, as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was 88.7 of a possible total of 125. 3.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subjective burde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be a negative correlation tha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The rela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urden of family caregivers were patient's illness characteristics: diagnosis, admission, duration of admission, number of admission, patient's condition. As a result, and author proposed that the more valuable and objective instruments evaluating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and nursing staff, and the methods such as interview, home-visiting, and other objective instruments are needed for further study. | - |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 | restriction | - |
dc.publisher |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 - |
dc.rights | CC BY-NC-ND 2.0 KR | - |
dc.rights.uri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 - |
dc.title | 정신질환자 가족의 부담감과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 - |
dc.title.alternative | Subjective burden and social support of family caregivers of mentally ill patient | - |
dc.type | Thesis | - |
dc.identifier.url |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292 | - |
dc.contributor.alternativeName | Lim, Hae Sook | - |
dc.type.local | Thesis | - |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