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ted 0 times in

후두적출술후 후각상피의 재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no regeneration of the olfactory epithelium after laryngectomy 
Authors
 이정권 
Issue Date
1988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후두암으로 후두적출술을 시행받은 환자는 암에 의한 고통이나 생명의 위험으로부터 해방되었다 하여도 비강이 정상호흡계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었기 때문에, 발성문제는 물론후 각기능의 고도감퇴 및 탈실(脫失)등의 후유증으로 일상생활에 적지 않은 장애를 겪고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환자의 건강관리 및 재활에 관하여서는 지금까지도 충분한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 하겠다. 술후, 후각기능이 감퇴되는 원인에 대하여는 후각상피의 기질적 장해설과 비강내 기류차단에 의한 기능적 장해설등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후각상피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가 전무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직도 규명의 여지가 많다고 하겠다.

이러한 실정에서, 저자는 임상연구로서 후두적출자 25명을 대상으로 채외기도튜브법을 이용하여 생리적 비내호흡을 유지시킨 상태에서 경비성 및 정맥성 후각검사를 시행하여 술전 및 술후 경과년수에 따른 후각역치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아울러 실험연구로서 성숙 잡견 10마리를 정상군과 후두적출술후 1주군, 9주군, 17주군 및 28주군각각 2마리씩으로 나누어 후각상피의 형태에 관한 경시적 변화를 광학현미경, 투시 전자현미경 및 주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이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상적으로 후두적출자의 후각기능은 초기에는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장기간 경과 후에는 감퇴되는 경향을 보였다.

2. 실험적 후두적출술후, 후각상피의 경시적 변화에서 술후 1주에는, 후세포(嗅細胞)에서 노화형의 후소포(嗅小胞) , 지지세포에서 미융모 팽윤등의 변성과정이 관찰되었다.

3. 실험적으로 술후 9주 및 17주에서 유아형과 성숙형의 후소포를, 지지세포에서 다양한 형태의 미융모를 보이는 재생과정이 관찰되었다.

4. 실험적으로 술후 28주에는 유아형으로부터 노화형에 이르는 변천과정의 후소포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성숙척 후소포는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위축된 소견을 보여 완전한 재생상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의 임상 및 실험연구결과로, 후두적출술후 후각감퇴의 호소는 비강내 기류차단에 의하여 냄새 자극물질이 후각상피에 도달할 수 없는 것이 중요 원인으로 사료되었으며, 장기간 경과후의 후각기능의 감퇴는 후각상피의 불완전한 형태학적 재생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비강내 기류의 재형성에 의하여 냄새 자극물질이 후각수용기를 자극시키게 되면 후각상피의 형태와 기능이 재생될 것으로 생각되어, 앞으로 같은 개체내에서 이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영문]The laryngectomized patients due to suffering from laryngeal cancer have almost relieved from the fear of recurrence and the life saying. On the other hand, they became increasingly interested to rehabilitation for the sequale which were loss of

phonation and the disturbance of olfaction and taste.

When the air flow fails to pass through the nose, the anatomical alteration of nasal mucosa occurs and this change has been documented especially on the respiratory epithelium. But the morphological data as to the fat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subsequent to laryngectomy in human or experimental animals cannot be found in the literature.

As the preliminary study, olfactory acuities of 25 laryngectomized patients were evaluated with transnasal and intravenous olfactory tests by using an artificial airway tube method. Experimental study was thereafter undertaken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olfactory epithelium in laryngectomized dogs by the light microscopy, th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for olfactory rehabilitation.

The results were followed.

1. The laryngectomized patients have a nearly normal olfactory acuities in the limited period after laryngectomy. However, in longterm subjects the olfactory acuitie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2. The important morphological changes one week after the laryngectomy were the vesicular swelling and the ciliary shortening or losing,

3. The regenerative evidence of the olfactory epithelium such as the mixed appearance of young - and adult - type olfactory vesicles, the microvilliary elongation of supporting cells was noticed in dogs 9 to 17 weeks after the laryngectomy.

4. Twenty-eight weeks after the operation, olfactory vesicles showed the developing patterns of all five stages which were able to observe in the normal olfactory epithelium. However, the adult-type olfactory vesicles were appeared to be shrunken a little bit, suggesting the incomplete regeneration at this time.

In conclusion, decrease of olfactory acuity in longterm laryngectomized subjects suggested to be somewhat related with the morphological alteration of olfactory epithelium. Concerning to reactive neurogenetic potentiality of the olfactory epithelium, recreation of the air flow wish odorous stimulants would contribute to complete regeneration of the olfactory epithelium.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42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torhinolaryngology (이비인후과학교실) > 3. Dissertation
Yonsei Authors
Lee, Jeung Gweon(이정권)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630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