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 709

Cited 0 times i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정상 성인 혈장 히스타민의 일중변화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영섭-
dc.date.accessioned2015-11-20T05:11:42Z-
dc.date.available2015-11-20T05:11:42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34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히스타민은 각종 알레르기 반응의 매개체, 위산 분비의 자극제, 중추 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세 종류의 수용체를 통하여 그 작용을 나타낸다. 히스타민은 체내 저장량의 대부분이 비반 세포 및 호염기성 백혈구에 존재하며, 각종 알레르겐 및 분비 유발물질에 의해 순만 혈액으로 분비되며 빠르게 대사되어 소변으로 배출된다. 혈장 히스타민은 각종 알레르기 질환, 아나횔다시스(anaphylaxis). 마취제등의 약물 부작용에서 그 농도가 증가해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 밖의 질병과의 관련성도 밝혀지고 있어, 조직이나 체액 등에서 히스타민의 농도를 측정하는 것이 병태생리학적, 약리학적 고찰에 중 요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인체내에 미량으로 존재하는 히스타민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매우 정밀한 정량 방법이 필요하다. 1935년 생검법(bioassay)으로 히스타민을 최초로 검출한 이래 형광검출법(fluorometric assay), 방사성 효소측정법(radioenzymatic assay), high-performance liquid ctromatography, 방사성 면역측정법(radioimmuno assay)등 다양한 정밀 분석법이 개발되었다. 최근 이러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정상 성인에서 혈장 히스타민 농도를 측정하여 본 바, 그 농도가 2 ng/Hl 미만의 수준으로 매우 낮으며, 기관지 천식 환자뿐만 아니라 정상 성인에서도 측정 시간에 따라 일중 변화의 양상을 나타낸다고 보고되었으며 특히 이른 아침에 의의있게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 지원자를 대상으로하여 중심정맥 도관을 삽입한 후 24시간 동안 매 시간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3단계 부탄올(butanol) 추출법을 통하여 히스타민을 추출하고 o-phthalaldehyde와 반응시킨 후, 역상(reverse phase)high-perform ance liquid chromatography와 혈광(fluorescence)검출기를 사용하여 히스타민의 농도를 정량하여 그 기저치와 일중 변화의 양상을 알아 보았다. 1. 대상 지원자는 12명으로 모두 남성이었으며, 연령은 23세에서 25세 사이로 평균 23.4세이었다. 2. 측정된 현장 히스타민 농도의 범위는 0.02 ng/ml부터 3.84 ng/ml이었다 3. 혈장 히스타민 농도의 일중 평균은 1.12±0.28 ng/ml이었다. 4. 각 시간대별로 평균한 혈장 히스타민 농도의 범위는 0.40±0.48 ng/ml(14시)부터 2.48± 1.26ng/m1 (6시)이었다. 5. 측정된 현장 히스타민 농도는 신장, 체중과 유의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p>0.05) 6. 혈장 히스타민 농도는 일중 변화를 보였으며, 각 시간대의 평균값은 3개의 정점을 가지는 곡선의 형태를 취하였으며, 각각 6시, 12시, 19시에 정점을 나타내었다. 7. 현장 히스타민 농도의 일중 변화의 양상을 8개의 시간대로 나누어서 통계적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현장 히스타민 농도는 4시부터 6시, 7시부터 8시, 18시부터 19시까지 3개의 시간대에서 다른 시간대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p<0.05) 이상의 결과로 정상 성인 지원자에서 혈장 히스타민 농도의 일중 평균은 1.12초0.28ng/ml이었으며, 혈장 히스타민 농도는 역동적인 일중 변화를 나타내며, 특히 이른 아침에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Histamin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various allergic reactions, and as a neurotransmitter as well as a mediator of gastric acid secretion. The measurement of plasma histamine has a great significance in physiologic, pathophysiologic, and pharmacologic investigation. Because histamine is rapidly metabolized in the circulation and excreted into the urine, its level is very low in the blood. In order to measure histamine levels in the blood, a precise quantification technique is required. Recently, many analytical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measure plasma histamine levels and it has been found that plasma histamine levels show circadian variation in healthy volunteers as well as in asthmatic patients. In this study, plasma histamine levels were measured every hour for a dart in 12 male volunteers. The results are as fort follows. 1. The diurnal mean of plasma histamine levels was 1.12±0.28ng/ml. 2. The means of plasma histamine levels at various sampling hours ranged between 0.40±0.48 ng/ml and 2.48±1.26 ng/ml 3. The means of plasma histamine levels at each hour showed circadian variation, which takes the form of a curve with 3 peaks at 6, 12 and 19 hour. 4. After dividing 24 hours into 8 time intervals,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this circadian variation. The means of plasma histamine levels at 3 different time intervals. which include 4 to 6, 7 to 8 and 18 to 19 hou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others In conclusion, diurnal mean of plasma histamine levels was 1.12±0.28 ng/ml in 12 healthy volunteers and plasma histamine levels shorted circadian variation which revealed higher values especially in early morning hour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정상 성인 혈장 히스타민의 일중변화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Circadian variation of plasma histamine in healthy volunteers measur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BioMedical Science Institute (의생명과학부)-
dc.contributor.localIdA02579-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345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Yoon, Young Sup-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영섭-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BioMedical Science Institute (의생명과학부)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