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594

Cited 0 times in

장액성중이염에 대한 실험적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심상열-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7:23Z-
dc.date.available2015-11-20T05:07:23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6178-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장액성중이염은 이관협착과 이에 따른 중이강내의 음압형성으로 중이강내에 분비액이 저류되어 이폐색감과 이내충만감, 난청, 자성강청, 및 이명등의 증상을 가지고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중이질환중의 하나로서 아직까지 그 병인 및 저류액의 생성근원에 대한 정설이 없으며 또한 치료로서 성행되고 있는 경고막적중이내튜브삽입술에 따른 중이점막의 변화에 관해서도 상세한 연구보고가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자는 장액성중이염의 병인을 규명하는 동시에 본증에 대한 최선의 치료방법 및 시기를 확립하고져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실험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로서는 고막소견이 정상인 한국산 고양이 102마리 (204耳)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을 다음과 같이 5군으로 나누어서 실험하였다. 제Ⅰ군: 정상대조군……………………………………………………………3마리( 6耳) 제Ⅱ군: 장액성 중이염 유발실험군…………………………………………27마리(54耳) 제Ⅲ군: 장액성중이염 유발후 제7일에 경고막적중이내튜브삽입술 시행군…………………………………………………………………24마리(48耳) 제Ⅳ군: 장액성중이염 유발후 제14일에 경고막적중이내튜브삽입술 시행군…………………………………………………………………24마리(48耳) 제Ⅴ군: 장액성중이염 유발후 제30일에 경고막적중이내튜브삽입술 시행군…………………………………………………………………24마리(48耳) 정상대조군은 수술현미경하에서 이관주위 중이점막을 채취하여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실험군인 제Ⅱ, Ⅲ, Ⅳ, Ⅴ군에서는 이관의 인두측 개구부를 폐쇄시켜서 장액성중이염을 유발시켰고 또한 제Ⅲ, Ⅳ, Ⅴ군에서 이관폐쇄후 제7, 14, 30일에 경고막 적중이내튜브삽입술을 시행하여 장액성중이염의 유발 및 치료경과에 따른 이관주위 중이 점막의 시기별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실험성적 및 결론 1. 이관폐쇄로 장액성중이염이 유발됨을 확인하였으며 이관을 통한 중이강 통기의 중요성을 재인식하였다. 2. 장액성중이염에서 중이강내 저류액은 이관폐쇄 익일부터 생기기 시작하여 제14일 이후에 가장 많은 양이 삼출되었으며, 제Ⅲ, Ⅳ군에서는 튜브삽입후 제14일에, 제Ⅴ군에서는 튜브삽입후 제35일에 각각 치유되어서 정상중이점막의 소견으로 환원됨을 확인하였다. 3. 실험적 장액성중이염군의 중이점막에서 상피세포, 배세포 및 혈관의 증식과 염증세포의 침윤등이 광학현미경적으로 관찰되었으며 제Ⅲ, Ⅳ에서는 튜브삽입후 제21일에, 제Ⅴ군에서는 튜브삽입후 제35일에 정상중이점막의 소견으로 환원됨을 확인하였다. 4. 전자현미경적으로 분비세포의 과립형성 및 돌출현상과 상피세포섬모의 수포현상 및 소실과 세포질내 소포체의 화장으로 인한 소공포, 대공포 및 dense body의 증가등 미세구조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아울러 다수의 염증세포가 상피세포층내로 침윤된 현상을 관찰하였다. 제Ⅲ, Ⅳ군에서는 튜브삽입후 제10일에, 제Ⅴ군에서는 제21일에 거의 정상중이점막 소견으로 환원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고찰하건대 이관폐쇄로 인한 중이강내 통기장애가 장액성중이염의 주요원인임을 다시 한번 확인하였다. 저류액의 근원은 배세포 및 점액분비세포로 추정되었으며 또한 치료면에서 장액성중이염 유발후 제14일 이내에 경고막적중이내튜브삽입술을 시행함으로써 튜브삽입후 제21일에 정상으로 치유되었고 장액성중이염 유발후 제30일에 튜브삽입술을 시행한 경우에는 제35일에 정상으로 치유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장액성중이염의 치료에서는 중이염 초기에 튜브삽입술을 시행하여 주는 것이 효과적이며 아울러 이관협착과 장액성중이염의 유인이라고 생각되는 비인강, 비강 및 인두질환등을 치료함으로써 본증을 예방하고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적절한 처치가 병행되어야 한다고 확신되었다. [영문] Serous otitis media, which showed hearing impairment, fulling sensation and tinnitus, is a disease of middle ear due to abnormal auditory (unction, but its etiology and pathogenesis are not clearly defined yet. Now a days, insertion of ventilation tube is prevailing but the reports of pathologic changes after tube insertion were very rare. So hydrous ex vacuo theory is now proved and serial pathologic changes after auditory tube instruction and ventilation tube insertion are defined in order to prove the source of effusion and decide the best time to insert the ventilation tube. Materials and Methods The anther used 102(204 ears) normal korean cats and classified into 5 groups. GroupⅠ: A group of normal control………………………………………… 3(6 ears) GroupⅡ: A group of experimentally produced serous otitis media… 27(54 ears) GroupⅢ: A group of treatment in which ventilation tubes were inserted 7 days after tubal obstruction……………………………………………24(48 ears) GroupⅣ: A group of treatment in which ventilation tubers were inserted 14 days after tubal obstruction…………………………………… 24(48 ears) GroupⅤ: A group of treatment in which ventilation tubers were inserted 30 days after tubal obstruction…………………………………… 24(48 ears) For the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observation, the specimens were obtained from the middle ear mucosa around the trmpanic orfice of auditory tube in each group. Results and Conclusions 1. Serous otitis media is produced by means of auditory tube obstruction, so reappraisal of middle ear aeration through auditory tube was obtained. 2. The effusion was produced from the next day of auditory tube obstruction and the amount was increased day by day till the spontaneous perforation of the drum. In group Ⅲ and Ⅳ which ventilation tube were inserted at seventh and fourteenth day after tubal obstruction, the operating microscopic findings returned to normal after fourteenth day in comparison with thirty-fifth day in group Ⅴ in which ventilation tube was inserted at thirtieth day after tubal obstruction. 3. By light microscopy, epithelial hyperplasia, capillary proliferation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were observed. In group Ⅲ and Ⅳ, the middle ear mucosa returned to normal after twenty-first day in comparison with thirty-fifth far in group Ⅴ. 4. By electron microscopy, secretory granules in secretory cell, secretory cell protrusion, increase of vesicles, vacuoles and dense bodies, blobs in cilia, toss of cilia and inflammatory cell infiltration into the epithelial farer were observed. In group Ⅲ and Ⅳ, above findings returned to normal after tenth day in comparison with twenty-first far in group Ⅴ. With above results, the conclusion was as follows; The aeration through auditory tub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rous otitis media and the effusion was secreted by secretory cells. The treatment with ventilation tube should be started before fourteeth day of tubal obstruction when definite pathologic changes develop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장액성중이염에 대한 실험적 연구-
dc.title.alternative(An) experimental study of serous otitis media-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0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him, Sang Yul-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