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 797

Cited 0 times in

들쥐에서 말초전정기관의 부위에 따른 전정신경의 중추투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홍준-
dc.date.accessioned2015-11-20T05:01:34Z-
dc.date.available2015-11-20T05:01:34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954-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머리의 회전운동으로 인한 속림프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신체의 평형 유지 기능을 맡고 있는 반고리관 팽대능선의 중앙부와 주변부는 털세포의 종류와 분포신경섬유의 굵기가 서로 다르나 각 부위로부터 중추투사는 해부학적인 특성과 기술적인 어려움으로 인하여 아직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에 연구자는 외측팽대능선의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전정핵으로의 중추투사를 밝히기 위하여 들쥐 외측팽대능선의 장축을 3등분하여 중앙부와 양측 주변부로 구분하고 선택적으로 찰상을 유발시킨 후 horseradish peroxidase로 표식된 신경섬유를 cobalt-glucose o xidase방법으로 발색반응시켜 뇌줄기내 신경로 및 전정핵에서의 투사 특성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외측팽대능선 신경섬유의 전정핵으로의 투사는 주로 전정신경뿌리의 머리쪽과 중앙부의 내측을 통하여 투사하였다. 2. 외측팽대능선의 각 부위에 따른 전정핵내 투사지역은 중앙부의 신경섬유는 일률적으로 각 신경핵의 중앙부였으며 주변부의 신경섬유는 각 신경핵의 주변부였으나 외측팽대능선의 주변부에 따라 달라 타래쪽 주변부는 위전정핵과 내측전정핵의 등쪽 외측과 아래전 정핵의 등쪽이었고 전정창쪽 주변부는 위전정핵의 등쪽 내측과 내측전정핵의 배쪽 내측 및 아래전정핵의 배쪽이었다. 그리고 외측전정핵내로의 투사는 상, 하행신경로의 신경섬유들과 중복되기 때문에 관찰이 곤란하였으며 외측팽대능선 중앙부의 신경섬유는 paracochlear glial substance로도 투사하였다. 3. 외측팽대능선의 각 부위의 신경섬유에서 투사된 뇌줄기내의 주 전정핵 세포의 크기는 중앙부에서 투사된 신경세포가 주변부에서 투사된 신경세포보다 컸으며 주변부의 부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외측반고리관 팽대능선 중앙부와 양측 주변부에서 기인하는 정보는 주 전정핵내에서도 중앙 및 주변의 고유지역으로 투사되고 중앙과 연관된 고유지역의 신경세포는 주변과 연관된 신경세포보다 커다란 세포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외측평대능선의 전기생리 특성과 연계하여 초전정기관의 정보전달에 따른 중추신경계의 역할을 이해하는데 기초적인 자료가 되겠으며 이러한 말초전정신경의 고유지역 투사에 대한 기능은 앞으로 전정핵의 지역에 따른 다른 상위 중추신경계와의 투사에 대하여 보다 정량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만 밝혀질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central projections from central and peripheral parts of the lateral crista in the mongolian gerbil were investigated by using scratch method and extracellularly applied horseradish peroxidase in the ampullary portion of labyrinth. The central and peripheral surfaces of the lateral crista were scratched selectively with an electrolytically sharpened fine needle and filled up the vestibule with 30% horseradish peroxidase solution. In 48 hours of experiment, with sliding microtome, the brain stem serial sections of 50μm were made. The tissue was processed with the diaminobenzidine procedure of cobalt-glucose oxidase method. The primary afferent fibers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lateral crista innervated central area of superior, medial and inferior vestibular nuclei respectively. The fibers from the peripheral part of flocculus side terminated in the dorso-lateral portion of superior and medial vestibular nucleus and dorsal portion of descending vestibular nucleus. The fibers from the peripheral part of oval window side projected into the dorso-medial portion of superior vestibular nucleus, ventro-medial portion of medial vestibular nucleus and dorsal portion of descending vestibular nucleus. The neurons received the afferent fibers from the central part of crista were larger than those from the periphery. In neurons of paracochlear glia1 substance, the fibers only from the central part of the lateral crista were projected. Above results suggest that different informations from the central and peripheral parts of the lateral crista transfer to each specific areas in the major vestibular nuclei. However, to clarify the functional significance of these result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upper central pathways and neurophysiological study related to the vestibular reflex arcs will be need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들쥐에서 말초전정기관의 부위에 따른 전정신경의 중추투사-
dc.title.alternativeCentral projection of the peripheral vestibular nerve from central and peripheral parts of the lateral crista in mongolian gerbil-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968-
dc.contributor.alternativeNamePark, Hong Joon-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