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493

Cited 0 times in

유기수은의 신경독성에 대한 셀레늄의 보상작용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수-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9:44Z-
dc.date.available2015-11-20T04:59:44Z-
dc.date.issued1990-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898-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유기수은의 신경독성에 대한 셀레늄의 보상작용은 여러가지 학설에 의해 그 기전이 보고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구체적인 세포단위에서의 기전은 잘 밝혀져 있지 않다. 신경독성을 유발시키는 유기수은의 세포내 작용기전은 유기수은의 신경세포막 침투로 presynaptic C^^a**2+ 의 투과성이 증가되고 신경세포내 C^^a**2+ 농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acetylcholine과 같은 신경전달물질들의 유리증가 및 저류현상을 일으켜 신경독성을 나타낸다. 반면 셀레늄은 인체구성성분인 미량금속성분으로 glutathione peroxidase의 구 성요소이며 유기수은으로 인한 지질과산화를 억제시키고 세포막구조를 안정화시키는 작용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수은의 신경독성에 대한 셀레늄의 보상효과 기전의 일부를 규명하고자 유기수은으로 인한 세포내 C^^a**2+ 농도 상승에 셀레늄이 어떠한 영 향을 미치는가 관찰하여 보고자 하였다. 유기수은으로는 CH^^3 H^^g Cl을 셀레늄은 Na^^2 S^^e O^^3 를 선정하여 흰쥐를 대상으로한 생체내 실험과 synaptosome을 이용한 실험관내 실험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체중 200g 내외의 수컷 흰쥐 75마리를 대상으로 CH^^3 H^^g Cl(3mg/kg)과 Na^^2 S^^e O^^3 (5mg /kg)를 복강내주사하였고 각각 정상대조군(제Ⅰ군), CH^^3 H^^g Cl 단독투여군(제Ⅱ군), N^^a^^2 S^^e O^^3 단독투여군(제Ⅲ군), CH^^3 H^^g Cl과 N^^a^^2 S^^e O^^3 동시투여군(제Ⅳ군), N^^a^^2 S^^e O^^3 전투여군(제Ⅴ군)등 5군으로 나누었고, synaptosome을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는 정상대조군(제Ⅰ군), CH^^3 H^^g Cl 25μM, 50μM, 100μM 단독투여군(제Ⅱ·Ⅲ·Ⅳ군), N^^a^^2 S^^e O^^3 200μM 단독투여군(제Ⅴ군) 그리고 CH^^3 H^^g Cl 25μM, 50μM, 100μM 각각과 N^^a^^2 S^^e O^^3 200μM 동시투여군(제Ⅵ군, Ⅶ군, Ⅷ군) 등 8군으로 나누었다. 생체내 실헙험에서의 실험시간은 실험재료의 투여직후부터 6시간, 24시간 및 45시간으로 하였으며 각 실험군 다섯마리씩을 도살 즉시 뇌를 적출하여 대뇌피질을 분리하고 곧이어 간장과 신장을 적출하여 수은농도를 측정하였고 또한 대뇌피질내의 succinic dehydrogenase 활성도, adenosine-5'-triphosphate 농도, acetylcholinesterase 활성도, 세포내 C^^a**2+ 농도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synaptosome을 대상으로한 실험관내 실험에서는 실험재료의 투여직후 10분간 incubation 시켜 free intrasynaptosomal C^^a**2+ 농도를 측 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H^^3 H^^g Cl(3mg/kg)과 N^^a^^2 S^^e O^^3 (5mg/kg)의 동시 투여및 N^^a^^2 S^^e O^^3 의 전투여시 흰쥐 대뇌피질내 수은 축적농도는 CH^^3 H^^g Cl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간장 및 신장조직에서의 농도는 역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2. 대뇌피질내 succinic dehydrogenase 및 acetylcholinesterase 활성도는 CH^^3 H^^g Cl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N^^a^^2 S^^e O^^3 전투여군과 동시투여군에서 높았고 특히 Na7se03 전투여군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adenosine-5'-triphosphate 농도에 있어서도 N^^a^^2 S^^e O^^3 투여군들이 CH^^3 H^^g Cl 단독투여군에 비하여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3. CH^^3 H^^g Cl의 단독투여로 세포내 C^^a**2+ 농도가 전실험시간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N^^a^^2 S^^e O^^3 전투여군 및 동시투여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하여 48시간째만이 유의하게 높았고 CH^^3 H^^g Cl 단독투여군과 비교하면 시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4. Synaptosome에 CH^^3 H^^g Cl(25μM, 50μM, 100μM) 와 N^^a^^2 S^^e O^^3 (200μM)의 동시투여시 free intrasynaptosomal C^^a**2+이 CH^^3 H^^g Cl단독투여시 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특정용량의 N^^a^^2 S^^e O^^3는 CH^^3 H^^g Cl 투여로 인한 세포내 C^^a**2+ 의 증가를 저하시키므로 C^^3 H^^g Cl의 신경독성에 보상효과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protective effect by sodium selenite in methylmercuric chloride neurotoxicity, increasing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of the neuron. Methylmercuric chloride of 3mg/kg of body weight was administered simultaneously with sodium selenite of 5mg/kg and pretreatment of sodium selenite via intraperitoneal injection to rat. Also, Effects of methylmercuric chloride (25μM, 50μM, 100μM) and sodium selenite (200μM) on free intrasynaptosomal C^^a**2+ concentration were studied using the fluorescent C^^a**2+ indicator fura-2 in vitro. After the treatment, at 6, 24, and 48 hours later, mercury in the cerebral cortex, liver and kidney tissues, succinic dehydrogenase activities, andenosine-5'-triphosphate concentration,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and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in the cerebral cortex were determined in vivo. Cerebral synaptosomes of rats were incubated with methylmercuric chloride and sodium selenite in Hepes buffer for 10 minutes and free intrasynaptosomal C^^a**2+ concentration were measured with fura-2 in vitro.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CH^^3 H^^g Cl and N^^a^^2 S^^e O^^3 and pretreatment of N^^a^^2 S^^e O^^3 according to time significantly more increased in the cerebral cortex and decreased in the liver, kidney mercury concentrations compared to the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2.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CH^^3 H^^g Cl and N^^a^^2 S^^e O^^3 and pretreatment of N^^a^^2 S^^e O^^3 increased more succinic dehydrogenase and acetylcholinesterase activities compared to the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Particularly pretreatment of N^^a^^ S^^e O^^3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compared to the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The concentration of adenosine-5'-triphosphate in N^^a^^2 S^^e O^^3 treatment groups revealed a favourable effect compared to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3.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in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wa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control group in all test hours but was increased significantly more at 48 hours only after treatment in combined administration of CH^^3 H^^g Cl and N^^a^^2 S^^e O^^3 and pretreatment of N^^a^^2 S^^e O^^3.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CH^^3 H^^g Cl and N^^a^^2 S^^e O^^3 and pretreatment of N^^a^^2 S^^e O^^3 according to time interval more decreased significantly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4. Free intrasynaptosomal C^^a**2+ concentration in the combined administration of CH^^3 H^^g Cl and N^^a^^2 S^^e O^^3 was decreased (24%-40%) significantly more than the administration of CH^^3 H^^g Cl only. From the above results, the specific dosage of N^^a^^2 S^^e O^^3 decreased incrementally of intracellular C^^a**2+ concentration induced by administration of CH^^3 H^^g Cl. These findings suggest the protective mechanism of N^^a^^ S^^e O^^3 on the neurotoxicity of CH^^3 H^^g Cl.-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유기수은의 신경독성에 대한 셀레늄의 보상작용-
dc.title.alternativeInteraction of sodium selenite on neurotoxicity induced by methylmercuric chloride-
dc.typeThesis-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