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42

Cited 0 times in

도금작업장의 작업환경 실태 및 비중격 천공 근로자의 제 특성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정균-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9:37Z-
dc.date.available2015-11-20T04:59:37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894-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크름산(chromic acid)은 장식 크름도금과 경질 크름도금, 타 표면 처리를 위하여 도금공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기타 분야의 활용도 또한 매우 높은 물질이지만, 크름산의 노출과 관련된 유해성에 대해서는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 왔다. 크름산의 강한 산화작용은 노출된 근로자의 피부, 점막 및 호흡기계를 자극하고 조직세포를 부식시켜 여러 종류의 자애증상을 유발시킨다. 크름산에 의해 유발되는 대표적인 장해증상으로는 비중격의 연골 부위를 손상시켜 발생되는 비중격 천공을 들 수 있다. 비중격 천공은 만성적이고 불가역적인 장해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조사연구는 매우 미비한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도금작업장의 작업환경 실태를 평가하고 비중격 천공 유병률과 관련된 제 특성에 대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직업병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 사업장의 일반적 특성 중 크름도금 작업장 분포는 전체의 71.1%인 234개소였고, 상시근로자 수는 평균 15명, 크름작업자수는 평균 2명이었으며, 월 평균 크름사용량은 112.9kg었다. 2. 조사대상 사업장의 작업환경 특성 중 46.9%인 163개소가 국소배기 장치를 설치하였으나, 성능이 양호한 곳은 19.8%인 65개소였으며, 기중 크름농도는 평균 0.007mg/M3로 허용기준에 비하여 낮았다. 3. 조사대상 사업장의 보건관리 특성 중 작업환경 측정을 실시한 곳은 42.5%였고, 특수건강 진단은 50.5%였으며, 특별 안전.보건교육은 12.4%, 그리고 유해물질에 관한 게시는 1.2%였다. 4. 조사대상 근로자의 일반적 특성 중 평균 연령은 29.6세였으며, 전체의 65.6%인 411명이 크름 직접폭로 부서에 종사하고 있었고, 평균 근무기간은 2.2년이었으며, 63.0%가 도금작업과 관련된 과거직력을 갖고 있었으며, 평균 경력은 3.7년이었다. 5. 조사대상 근로자의 비중격천공 증상 별 유병률은 비중격 천공이 31.7%인 199명이었고, 궤양 및 점막병변군은 10.2%인 64명이었으며, 자극증상군은 13.6%인 85명으로 조사되어 전체 대상자의 55.5%가 크름산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조사대상 사업장 및 근로자의 특성별 변수에 따른 비중격 천공증상군 간 유병률의 차이를 통계학적으로 검정한 결과, 일반적 특성의 경우 도금종류와 연령, 근무부서, 근무기간, 과거직력(부서, 기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작업환경 특성의 경우는 국소배기장치의 효율에서, 그리고 보건관리 성의 경우는 특수 건강진단의 실시에서 통계학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비중격 천공증상의 발현은 작업자의 크름폭로 여부 및 폭로기간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되어 국소배기장치의 효율적 관리와 개인 보호구의 활용 등을 통하여 폭로량을 억제하므로써 비중격 천공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Chromic acid has widely been used for decorative chromium plating, hard chromium plating, and surface treatment for raw materials. However its strong oxidizing action has been found to cause irritation and corrosion skin and mucous membrane, such as nasal septum, conjunctiva, face and hand skin. Excessive exposure to chromic acid have frequently caused ulceration and perforation of a nasal septum. These ulceration are painless and confined to cartilaginous portion at the lower anterior part of the septum, known as Kisselbach's or Little's area.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ctual condition of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revalence rate of nasal septum perforation due to inhaltion of the chromic acid mist for workers employed at chromium plating in industrial establishe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627 workers who were exposed to chromic acid from July 4 to November 24, 1988.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s of chromium plating industries was 234 (71.1%), most of these industries were located on Kyungin area(62.1%). The number of regular employers was 15 subjects and these industries used chromic acid 112.9kg a month, and the number of workers engaged in chromium plating were less than 3 (89.7%) for each workplace. 2. The installations of local exhaust ventilation with good efficiency such as slot type or push-pull type were asessed 91 work places(27.7%) and concentrations of chromic acid in workplace were 0.007(trace-0.66)mg/m3. 3. The number of industries inspected environmental measurement two times a year was 16(4.9%), special health examination were 106(50.5%), and education of safety and health were 41(12.4%). 4.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romum plating workers, the mean age of workers were 29.6 years, 411(65.6%) workers were exposed to chromium directly, duration of work were 2.2 years and 278 (63.0%) workers who had been exposed to chromium were 63.0%. 5. The estimate of prevalence rate of the medical symtom due to chromic acid exposure and nasal septum perforation was 31.7%, ulceration and congestion of the nasal septum was 10.2%, and irritating symton was 13.6% among 627 subjects. 6.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with nasal septum perforation were type of plating, age of employers, type of job, work duration, and work history. The variables related with nasal septum perforation were efficiency of ventilation and performing the special health examination.-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도금작업장의 작업환경 실태 및 비중격 천공 근로자의 제 특성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state of working environments and prevalence of nasal septum perforation in plating workers-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