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613

Cited 0 times in

폴리아민이 흰쥐 복재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polyamine upon saphenous nerve regeneration in the rat 
Authors
 문혜원 
Issue Date
1993
Description
의학과/박사
Abstract
[한글]

손상된 말초신정의 재생과정에 세포의 증식과 성장 등 중요한 생물학적 기능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폴리아민이 미치는 영향과, 신경세포의 성장에 관여하는 물질로 알려져 있는 신경성장물질과 폴리아민과의 상호작용을 살펴보기 위하여, 흰쥐 복제신경을 지혈감자로 충격손상을 준 후, 폴리아민과, 항신경성장물질, DFMO 등을 투여한 후, 일정기간이 경과한 후에 복재신경의 근위부(proximalportion)과 원위부(distal portion)에서

축삭직경과 수초의 두께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충격손상후 2개월까지 축삭의 크기 및 수초의 두께가 작아지다가 3개월 이후에는 커지지만 손상후 7개월까지 정상대조군의 수치로 회복되지는 않았다.

2.폴리아민 투여 초기인 1개월에 근위부의 축삭직경 및 수초두께는 손상대조군에 비해 매우컸으나, 투여후 7개월에는 손상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다. 원위부에서도 축삭직경과 수초두께 모두 손상대조군보다 컸다.

3.폴리아민과 항신경장물질을 투여한 경우에 근위부의 축삭직경은 손상대조군에 비해 매우 컸으나, 수초두께에 있어서는 매우 작아 졌으며 시일이 경과하여도 회복되지 않았다.

4. DFMO 투여 초기에는 근위부의 축삭직경과 수초외 두께가 모두 작아졌으나,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다시 회복되어 손상후 7개월군의 경우에는 거의 정상대조군의 수치에 가깝게 회복되었다. 원위부에서는 축삭직경과 수초두께 모두 매우 작아져 손상대조군의 수치와 유사하였고, DFMO 투여후 7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원위부의 축삭직경과 수초두께는 근위부에서와는 달리 작았다.

5.무수초신경서유에 나타나는 변화로는 손상초기인 손상대조군 1개월군에서는 축삭의 형태가 매우 불규칙하였으며, 큰포식세포와 유사한 불규칙한 형태를 하는 슈반세포도 관찰되었다. 폴리아민을 투여한 경우에는 무수초신경세포들의 직경이 커졌으며, 특징적으로 긴돌기를 내는 섬유모세포들이 무수초신경섬유의 머리를 들러싸 군집을 이루는 양상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매우 작은 축삭들이 많아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충격손상후 초기 일주일동안 폴리아민을 투여한 군의 근위부와 원위부에서 축삭직경과 수초두께가 모두 손상군보다 커지 srjt으로 보아 폴리아민은 손상된 신경의 근위부와 원위부의 재생에 무두 영향을 주는 것을 아 수 있었다. 폴리아민과

항신경성장물질을 함께 투여한 경우에는 수초의 두께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폴리아민과 항신경성장물질을 함께 투여한 경우에는 수초의 두께에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보아 재생과정 중 수초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폴리아민만의 효과라기보다는 신경성장물질과의 상호작용에의해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손상 초기에 폴리아민 합성에 중요한 오르니틴 탈탄소화효소의 활성억제제인 DFMO 투여하였을 경우 7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원위부에서 축삭직경과 수초의 두께가 다시 커지지 않는 것으로 보아 폴리아민은 특히 신경의 재생 초기에 크게 영향을 미침을 알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폴리아민

은 단독으로나 또는 신경성장물질과의 상호작용에 해 수초 신경섬유와 무수초신경섬유의 재생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Polyamine has been known to devote to cellular proliferation and growth in peripheral nerve regeneration and this study has been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olyamine and the interaction of nerve growth factor which is known as nerve cell growth promoting substance.

Saphenous nerve of the rat has been injured with hemostat and polyamine, anti-nerve growth factor and DFMO have been injected. After certain period, axon diameter and myelin thickness have been measured in proximal and distal portion of the saphenous nerve.

1. Axon diameter and myelin thickness decreased until 2 months and increased after 3 months after injury, however, they did not recovered to normal sizte even after 7 months.

2. In 1 month after polyamine treatment, proximal axon diameter increased and they were larger than normal group, however, 7 months group didn't show increment.

Myelin thickness of polyamine group showed no differnce with normal control group, while they were increased compared to experimental control group. In distal portion, axon diameter and myelin thickness were smaller than normal control, while they were larger than experimental control group.

3. In polyamine and anti-NGF group, axon diameter of the proximal portion were increased a little bit in the early period and later no changes has been shown. However, myelin thickness were decreased in a large amount' and they were similar to experimental control group. In distal portion, axon diameter and myelin thickness were decreased and they were not recovered after certain period.

4. In DFMO group, axon diameter and myelin thickness of the proximal portion decreased in the early period and they were recovered after that. In 7 months group, they were almost same as and they were never recovered after 7 months.

5. In unmyelinated nerve, the shape was very irregular in experimental control group. Also Schwann cell has the morphology of macrophages. In polyamine group, the diameter were increased through all period. In polyamine-anti-NGF group, various sized axons were appeared and especially, small axons were observed in a large amount.

Axon diameter were increased in polyamine group and polyamine-anti-NGF group both in of both proximal and distal portion. Myelin thickness was increased in polyamine group, however, they were not changed polyamine-anti-NGF group. With this results, it could be concluded that NGF has more effect in myelin thickness in regeneration and polyamine has the effects in the early period of regeneration.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893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6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