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897

Cited 0 times in

대퇴골 근위부 골절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의 측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문성환-
dc.date.accessioned2015-11-20T04:55:57Z-
dc.date.available2015-11-20T04:55:5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754-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고령 인구의 증가로 골조송증에 의한 척추 및 대퇴골 근위부의 골절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골조송증에 의한 대퇴골 근위부의 골절은 척추 골절보다 환자에개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치료에도 어려움이 많다. 이에 저자는 1991년 3월 부터 1992 년 2월 까지 연세대하교 의과대학 정형외과교실에 내원한 50세 이상의 여성에서 경미한 외상 흑은 뚜렷한 외상없이 대퇴골 근위부에 골절을 일으킨 49례에서 경부화 전자부 골절로 나누어 임상적으로 조사하고 이중 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기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를 이용하여 척추 및 대퇴골 근위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같은 기간에 조사한 대퇴골 근위부에 골절이 동반되지 않은 124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단순 방사선 사진으로 분류하여 대퇴골 근위부절 49례중 19례가 대퇴골 경부 골절군으로서 골절시 평균 연령은 66세였고, 30례가 전자부 골절군으로서 곤절시 평균 연혁은 79세 였다. 2. 대조군애서 우측과 좌측의 대퇴골 경부, Ward 삼각부 및 대전자부의 골밀도를 측정하여 좌우측을 비교하였으며 좌우측 3개 부위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대조군과 대퇴골 근위부 골절군의 골밀도를 비교하면 척추, 대퇴골 경부, Ward 삼각부 및 대전자부가 각각 의의있게 감소되어 있었다. 4. 대퇴골 전자부 골절군은 경부 골절군보다 고령이며 저체중이었다. 골밀도는 전자부 골절군에서 척추, 대퇴골 경부, Ward삼각부 및 대전자부모두에서 감소된 경향이 있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5.대퇴골 경부 골절군과 전자부 골절군을 각각 대조군 골밀도와 비교하면 대퇴골 근위부는 두군이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골량이 감소 되어있었다. 요추부의 골밀도는 경부 골절군과 대조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전자부 골전군은 대조군에 비해 의의있게 골량이 감소 되었다. 6.대퇴골 경부 골절군에서 골절한게치는 대퇴골 경부 골밀도로 0.75gm/cm2 이고 전자부 골절군에서는 0.63 gm/cm2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대퇴골 전자부 골절과 경부 골절은 곯조송증의 골량 감소의 결과로 발생하지만 대퇴골 전자부 골절은 경부 골절에 비해 고령, 저체중이며 보다 전신적인 골량의 감소를 보이는 성향을 관찰하였다. [영문] With increase in acted people, osteoporosis and its related problems were also increased. The fracture of the proxiial feiur causes Hore severe problems than other osteoporot ic fractures. There was some controversies about direct cause of hip fracture. We evaluated 49 osteoporotic proximal femur fractures in women above 50 years between March 1991 and Febuary 1992. The bone density of the fracture group and the healthy 124 control group was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The result was compared using age matched paired T test. The results were as fort low 1. The femoral neck fractures were 19 cases and the trochanteric fractures were 30 case 7. Mean age at a fracture was 66 years in neck fracture group and 79 years in trochanteric fracture. 2.In the control group, the bone density of both side of the proximal femur was measured and it showed statistically no diflorence between both sides in same person. 3. The bone density of spine, neck, Ward triangle and trochanter area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proximal femoral fracture group comparing with the control group. 4. The trochanteric fracture group showed fore older and thinner than the femoral fecal fracture group,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bone density between two groups. 5. Comparing bone density of third lumbar spine in the trochanteric fra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ly reduced density than control(P<0.001) ,in the femoral neck fracture group bone density showed no difference wi th control (P=0.648) 6. The fracture threshold of femoral neck fracture was 0.75gm/cm**2, and that of trochanteric fracture was 0.63gm/cm**2 measured at femoral neck area. The osteoporosis is important cause of elderly hip fracture. The trochanterlc fracture occurs in the patients with diffuse osteoporosis who are older and thinner while the femoral neck fracture may occurs in localized osteoporosis in proximal femur.-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대퇴골 근위부 골절에서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을 이용한 골밀도의 측정-
dc.title.alternativeMeasurement of bone mineral density in osteoporotic fracture of the proximal femur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1365-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488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Moon, Seong Hwa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문성환-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rthopedic Surgery (정형외과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