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508

Cited 0 times in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지방 분포 양상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유리-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8:17Z-
dc.date.available2015-11-20T04:48:17Z-
dc.date.issued199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64-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인슐린 저항성은 당뇨병, 고지혈증, 동맥 경화증 등 만성 퇴행성 질환과 밀접한 연관성 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의 체지방 분포와 인슬린 저항성과의 관계를 관찰하기위해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 로서 정상 체중군 6예와 과다 체중군 12예중 중심성 비만군(waist/hip circumference rat io: WHR≥1) 6예와 말초성 비만군(WHR<1) 6예를 대상으로 식사 조사, 신체 계측, Futrex- 5000에 의한 체지방량 측정, 복부와 대퇴부 컴퓨터 단층 촬영, 경구 당부하 검사, 혈청 지질 검사,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technique으로 포도당 이용율을 측정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의 평균 체중은 차이가 없었고 WHR와 체지방량은 중 심성 비만군에서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2. 정상 체중군, 중심성 비만군, 말초성 비만군에서 3대 영양소 섭취율은 당질과 단백 질은 차이가 없었으나, 지방의 섭취율은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으나 한국인 권장량을 초과하지는 않았다. 3. 컴퓨터 단층 촬영으로 측정한 내장 지방 면적은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넓었고 피하 지방 면적은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경구 당부하 검사상 혈당 반응에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고 경구 당부하후 120분의 혈장 C-peptide와 인슐린 농도는 중심성 비만군에서 말초성 비만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 았다. 5. 포도당 이용율은 중심성 비만군과 말초성 비만군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 았으며 중심성 비만군이 말초성 비만군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6. 포도당 이용율과 신체 계측치와의 상관성을 보면 전체 환자에서는 WHR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과다 체중군에서는 waist/thigh ratio(WTR)가 가장 높은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7. 중심성 비만증이 심할수록 고인슐린혈증과 높은 혈중 유리 지방산 농도를 보이고 이 들에서 포도당 이용율이 낮아 인슐린 저항성은 증가하였다. 8. 중심성 비만증의 지표들중 WTR은 혈청 고밀도 지단백 농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중성 지방농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고밀도 지단백은 내장 지방 면적과는 음의 상관 관계를, 대퇴 근육 면적과는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인슐린 저항성을 결정 하는 데는 신장에 대한 체중이나 체지방량 자체보다는 체지방의 분포 양상이 중요한 역할 을 하며, 특히 과다 체중 환자에서는 적절한 식사요법과 운동요법을 통해서 체형을 바꾸 는 것이 당질과 지질 대사 장애의 개선을 위하여 매우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The role of insulin resistance is known to be very important in the pathogenesis and clinical courses of human diseases such as diabetes mellitus, hypertension, atherosclerotic coronary vascular disease, and dyslipoproteinemia.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NIDDM), dietary survey, anthropometry, CT scan, measurement of % body fat by body composition analyser, oral g1ucose tolerance test and measurement of glucose uptake rate by euglycemic hyperinsulinemic glucose clamp technique were performed in 6 normal weight patients and 12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Six of 12 overweight-obese patients are centrally obese with waist hiP circumference ratio(WHR)≥1 and 6 cases are peripherally obese with WHR<1. 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mean body weight of centrally obese patients and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WHR and % body fat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2. The intakes of carbohydrate and protein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the intake of fa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entrally obese patients than in peripherally obese patients. 3. In the centrally obese patients, visceral fat area measured by CT scan was significantly wider than in the peripherally obese patients but subcutaneous fat area was ne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4. Plasma glucose levels on oral glucose tolerance tes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but plasma C-peptide and insulin levels 2 hour after glucose loa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centrally obese patients than in peripherally obese patients. 5. Glucose uptake rate(M/I ratio) of centrally obese patients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peripherally obese patients. 6. WHR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all the patients and waist/thigh circumference ratio(WTR ) showed the highes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in overweight-obese patients. 7 Insulin area and fasting level of free fatty acid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HR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M/I ratio. 8. Among the indices of central obesity, WTR showed significant negativecorrelation with serum level of HDL-cholesterol and postive correlation with serum level of triglyceride. HDL-cholestero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visceral fat area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igh muscle area.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the relative body weight for height or body fat content has a greater role in determining the degree of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patients with NIDDM. And a further chance of body configuration through adequate diet and exercise is highly recommended for overweight-obese NIDDM patients.-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의 체지방 분포 양상과 인슐린 저항성과의 상관성-
dc.title.alternative(The) correlation between insulin resistance and the pattern of body fat distribution in Korean patients with non-insulin dependent diabetes mellitu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15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Yoo Le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