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929

Cited 0 times in

가구단위 식품섭취수준에 따른 농촌 어린이 건강상태 추정능력에 대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영현-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6:59Z-
dc.date.available2015-11-20T04:46:59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415-
dc.description/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한 집단의 어린이들의 영양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은 직접적으로 그들의 영양상태를 측정하는 것이다. 반면, 식품섭취의 수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추정되 고 있다. 그런데, 우리나라 식품소비실태조사는 서구의 개인단위조사에 반하여, 일반적으 로 가구단위조사에서 얻어진 한 가구의 식품 및 영양소 섭취수준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그 가구의 어린이 영양상태를 추정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과연 가구의 식품 소비 수준이 그 가구에 속한 어린이의 영양상태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즉 직접적인 영양상태측정과 가구단위섭취수준으로부터 추정된 어린이 영창 상태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1982년 농촌영양개선연수원에서 전국규모로 진행된 식품섭취조사의 대상가구중 미취학 어린이가 있는 78가구, 127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1973년 5월에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가구의 식품섭취유형은 세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첫째, 각 가구의 다섯가지 기초식품군의 섭취수준, 둘째, 각 가구의 곡류의 섭취수준, 셋째, 각 가구의 영양소섭취량의 수준으로 분류하였다. 식품 섭취량은 칭량법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의 영양상태는 신장, 체중, 상완 위 피부두께의 신체계측을 통한 성장지연율과 혈액검사를 통한 빈혈유병율을 조사하였고, 면접설문조사에 의하여 질병이환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가구의 다섯가지 기초식품군의 섭취수준에 따라 어린이 건강상태, 즉 성장지연율, 빈혈유병율, 질병이환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가구의 쌀과 보리등의 섭취수준에 따라서 어린이의 성장지연율과 빈혈유병율은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가구의 열량섭취수준이 높아질수록 상완위 피부두께 성장지연율은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며, 통계학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인다. 가구의 영양소섭취에 따라 어린이의 빈 혈유병율, 감기와 설사등 질병이환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로 연구대상이 되었던 인구집단에서는 가구의 식품 및 영양소섭취수준은 그 가구에 속한 어린이의 건강상태를 대변할 수 있는 설명도가 극히 낮았다. 이로써 우리나 라 농촌 주민을 대상으로 조사된 가구의 식품 및 영양소의 섭취수준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그 가구에 속한 어린이의 영양상태를 추정하는 것은 문제있는 접근 방법이었다. [영문] It has been a long tradition in the field of nutrition that the degree of malnutrition in a community used to be estimated by the degree of the adequacy of nutrients consumption in the house-holds. The adequacy of nutrient consumption in the households then used to be applied to estimate the degree of malnutrition of the children. Such a practice is theoretically acceptable in the community where the food sharing within the household is individual serving style such as in European countries. However, the community where the dietary habit in the household is communal such as in Korea, the estimation of single serving portion from total household consumption Is quite uncertain. Because of such an uncertainty, this study is intend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household food consumption levels as an indication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in the rural farm households in Korea. The data from the household consumption survey in 1982 by the Korean Rural Nutrition Institute has been used for the analysis of food consumption levels of the households. The survey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of 127 preschool children from 78 farm households, has been conducted during May 1983.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has been directly measured by weight, height, skinfold thickness, haemoglobin, haematocrit and morbidity of influenza and diarrhoea. The analysis has beep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malnutrition of children from the estimated of household consumption and that of from the direct measurement of nutritional status of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the degree of malnutrition of the children estimated by the household consumption level has not related with the prevalence of malnutrition by the direct measures of nutri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Therefore, the validity of household consumption level as an indication of nutritional status in a same household is quote uncertain for the population studi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가구단위 식품섭취수준에 따른 농촌 어린이 건강상태 추정능력에 대하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validity of the household food consumption levels as an estima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children-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