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1235

Cited 0 times in

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상옥-
dc.date.accessioned2015-11-20T04:44:21Z-
dc.date.available2015-11-20T04:44:21Z-
dc.date.issued199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313-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국가에서는 증가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를 위해 여러가지 환경 관련법률을 제정하여 그 사용이나 폐기에 규제를 하고 있다. 현행 환경 관련법률에 의하면 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배출에 대해서도 규제를 받아야 하나 실제로는 수업담당 교사의 재량에 의해 처리되고 있다. 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은 그 종류는 많으나 사용량이 적어 대학이나 산 업체에서 사용되는 처리방법을 그대로 적용하는데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되는 화학물질의 안전한 관리와 환경보전을 위한 처리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다음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현행 5종의 중학교 과학교과서를 분석하여 화학물질의 종류와 양을 파악하고 이들 을 유해물질관리법, 수질환경보전법,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유독물, 특정유독물, 수질오 염물질, 특정수질오염물질, 대기오염물질, 특정 대기오염물질로 분류하였다. 둘째 과학실에서 사용하는 화학물질의 관리와 처리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 울의 중학교 과학교사를 무작위 추출하여 유해물질의 인식정도, 유해물질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관리현황, 폐기현황, 실험 중 사고, 실험 실시 정도에 대해 설문지 방법으로 조 사하였다. 세째 우리나라의 교사용 환경 교육지침서, 외국의 중등학교의 실험실 폐기물 처리를 위 한 교사용 지침서와 산업폐수분야의 문헌을 검토하여 중학교 과학실에서 배출되는 화학물 질을 처리 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을 모색 하였다. 위의 방법으로 행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과학교과서 1.2.3. 학년 용에 수록된 화학물질은 237종이고 실제 실험에 사 용되는 물질은 87종 이었다.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한 유독물은 51종이고 이 중 특정유 독물은 48종이며 수질환경보전법에 의한 수질오염물질은 116종이고 이 중 특정수질유해물 질은 10종이다. 또 대기환경보전법에 의한 대기오염물질은 91종이고 이 중 특정대기오염물질은 19종 이 었다. 이와 같이 중학교 과학교과서에는 환경 관련법에 규제를 받는 화학물질이 많으나 그에 대한 위험성이나 환경오염 유발에 대한 교육은 거의 없었다. 2. 과학실에서 버려지는 다양한 종류의 실험폐수가 환경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 각하는 교사는 93.7%로 대부분이었으나 76.9%의 교사가 아무런 조치없이 그대로 방류하고 있어 실험폐수가 적절히 처리되지 못하고 있었다. 3. 유해화학물질관리법에 의해 관리를 해야하는 물질이 있는지는 70.7%가 잘 알고 있으 나 실제로 특수유해물질을 분류하여 보관하는 곳은 24.l%로 적었다. 4. 유해화학물질과 관련된 교육을 받아본 교사는 17.3%로 적었으나 83.8%의 대부분의 교사가 과학실에서 화학물질을 취급하면서 유해물질과 관련된 실질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5. 실험폐수를 간단히 처리하는 방법이 있다면 실시하겠다가 93.2%로 중학교에서 실시 할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제시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6. 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된 화학물질의 안전하고 비용이 적게 드는 처리법을 각 물질 별로 제안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중학교 과학실에서 유해물질의 관리와 환경보전을 위해서 유해화학 물질을 가능한 한 일반화학물질로 대체하는 방법,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교육내용을 강화 하는 방법, 유해물질관리에 대한 과학 교사의 재교육, 중학교 과학실에서 실시할 수 있는 유해물질의 처리법과 그에 필요한 기자재의 보급 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영문]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harzardous chemicals from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are studied for the saftey in science class and for the protection of the environment . Research was done by the analysis of 5 kinds of current middle school science text book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review of the recommanded methods for the disposal of harzardous chemical wastes from science class. There are 237 chemicals appeared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 books, among them 87 actually used in middle school science laboratory. 51 chemicals are classified as hazadous ones, and 49 are as highly hazardous by the "Law of Toxic Chemicals", 116 chemicals as water pollutants and 10 are highly hazardous water pollutants, by the "Water Quality Control Law", 91 chemicals as air pollutants and 19 are highly hazardous air pollutants by the "Air Quality Control Law".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on the identification of toxic chemicals, need for education, awareness of toxic effects and current problems in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toxic chemical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 showed that most of middie school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the chemical wastes from the science laboratory migh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hey disposed them to the drain or waste bin without treatment. Most of science teacher wanted to have opportunities to attend supplement courses for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chemicals for the safety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Arrangement of simple and serviceble methods for the management and disposal of chemicals at middle school science level is strongly needed. Some treatment methods of hazardous chemicals serviceable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are presente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중학교 과학실에서 사용되는 유해화학물질의 관리방안에 관한 조사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management of harzardous chemicals from the middle school science clas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742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Sang Ok-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