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675

Cited 0 times in

모 석탄 및 시멘트 저장기지에서의 비산분진 확산예측 : valley model을 적용하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구기창-
dc.date.accessioned2015-11-20T04:31:29Z-
dc.date.available2015-11-20T04:31:29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81-
dc.description환경관리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과도한 부유분진 (Total Suspended Particulate : 이하 TSP라고 함)의 오염은 인간생활의 질을 저하 시키며 또한 건강의 해를 일으키는 것으로 대기오염의 한 지표로서 사용하고 있으며 그 피해에 대한 많은 보고가 있다. 특히 무연탄 저탄장에서는 분진의 발생이 예상되므로 방진대책이 강구되지 않는 경우 인근지역 주민들에게 적지않은 피해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분진발생요인이 있는 시설을 계획 할 때에는 미리 분진의 농도를 예측하여 그로인한 오염문제가 야기되지 않도록 그에 맞는 적절한 방지대책을 수립하여야 할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안양시 부근의 개발 제한 구역내에 300만톤의 저탄시설과 250만톤의 시멘트 기지를 계획중인 모 화물기지에서의 예상되는 분진발생과 확산을 Valley Model을 이용하고 추계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연구 대상지역의 기지건설전 TSP실측치는 약 50μg/m**3로 환경기준치인 150μg/m* *3에는 훨씬 미달하였다. (2) 분진의 확산을 기후 안정도에 따라 예측하여 본 결과 대기가 안정할수록 분진의 확산이 잘 되지 못하였다. 즉 배출원으로부터 1km에서 Pasquill, F의 기후 안정도 6등급인 경우 년평균 약 3.000μg/m**3, 그리고 기후 안정도 1등급에서 약 100μg/m**3를 나타내었다. (3) 계절에 따른 부유분진 분포의 영향은 주로 풍향과 풍속에 의하여 좌우되었다. 분진의 분산방향은 주풍향인 서풍 또는 서북풍과 반대방향이었으며, 그 분산면적은 년평균풍속이 커질수록 약간씩 작아졌다. (4) 오염도 추계결과 방진시설이 없는 경우 년평균 TSP농도는 반경 1km지점에서 약 1.750μg/m**3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5) 분진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을 Slope식 하화방식, 살수방식, 방풍벽 설치등을 검토하였다. 즉 Slope식 하화방식에서 살수량을 300cc/m**3, 방풍벽의 높이를 저탄높이의 0.8배로 했을때 평균분진 발생량이 반경 1 km지점에서 58μg/m**3이 될 것이며, 살수 량을 200cc/m**3로 낮출 경우에는 같은 조건에서 균분진 발생량이 86μg/m**3 이었다. 따라서 현재의 TSP농도 약 49μg/m**3를 고려해도 두 경우는 모두 TSP환경 기준치인 150μg/m**3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건설될 본 연구 대상지역인 무연탄 및 시멘트 기지에서의 쾌적한 생활환경 보전을 위해서는 적절한 방진대책을 고려하여 분 진의 비산을 최대한 방지 하도록 강구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영문] In this study, it was predicted the dispers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 matter in coal storage base and cement silos having capacity of 3 and 2.5 million tons per year respectively. The dispersion was simulated using Valley Model for several conditions with or without the control measurement; anual average TSP dispersion for wind speeds, directions and atmospheric stability condition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Before installing the field, TSP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under the level of ambient air quality standard. 2) According to atmospheric stabilities after installed the field without any control measuremen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stable atmosphere, the less TSP matter was assumed; TSP concentration in the most stable condition was predicted 3,000μg/m**3 1 km, meanwhile 100μg/m**3 in the most unstable condition at the point remoted from source. 3)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 of TSP was predicted to be 1.750μg/m**3 at the distance of 1 km from source if not installed with the control devices. 4) Those control methods for the reduction of coal particle generation were discussed for the application of water spray method and wind fence simultaneously. TSP concentration was reducted to 108μg/m**3 at the distance of 1 km from sources, with slope plate, water of 300cc/m**2 spray and wind fence with 0.8 times of coal storage height.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control devices should be installed to prevent the suspended particulate from the coal and cement storage field.-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prohibi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모 석탄 및 시멘트 저장기지에서의 비산분진 확산예측 : valley model을 적용하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dispersion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 in coal and cement storage field : simulated by valley model-
dc.typeThesis-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