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837

Cited 0 times in

한국인의 정상 시야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공영태-
dc.date.accessioned2015-11-20T04:30:59Z-
dc.date.available2015-11-20T04:30:59Z-
dc.date.issued198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15062-
dc.description의학과/박사-
dc.description.abstract[한글] 시야는 눈을 고정한 상태에서 볼 수 있는 공간의 범위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시야의 측정을 시야검사라고 한다. 시야검사의 중요성은 안질환과 뇌질환의 진단, 예후 및 치료 의 판정에 있어 점차로 증대되고 있다. 시야검사의 실제 시행과 임상적 응용에 있어서는 여러 가지 객관적 또는 주관적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저자는 많은 요인 중에서도 특히 1. 시야의 연령렬 변화(실험Ⅰ), 2. 시표의 이동방향(실험Ⅱ) 및 3. 색시야 검사시 의 시표의 명도(실험Ⅲ)에 관하여 각각 연구했다. 저자는 건강한 한국인 남여 총 201명을 대상으로 Goldmann형 시야계를 사용하여 주변 시야를 측정했다. 실험실과 시야계 배경의 조도, 시표의 색, 명도, 이동방향, 이동속도 및 인지법 등에 대해서는 각 실험의 조건에 맞추어 사용했으며, 시표의 크기는 모든 실험 에서 동일했다. 실험별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실험Ⅰ: 시야의 연령별 변화에 관한 연구에서 시야의 넓이는 20대군에서 가장 넓었으며 그 이후에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좁아졌으며 특히 상측 시야의 감소가 뚜렷했 다. 실험Ⅱ: 시표의 이동방향에 관한 연구에서 시표를 중심부로부터 주변부를 향하며 측정 한 시야의 넓이는 시표를 주변부로부터 중심부를 향하며 측정한 경우보다 넓었다. 실험Ⅲ: 색시야 검사시의 시표의 명도에 관한 연구에서 1) 시표의 명도가 같고 시표유무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 적색시야가 백색이나 녹색의 시야보다 현저히 좁았다. 2) 시표의 시감명도가 같고 시표유무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 파장이 다르더라도 시야 의 넓이는 서로 비슷하다고 할 수 있었다. 3) 시표의 시감명도가 같고 시표색갈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 파장에 따라 시야의 넓이 는 각각 달랐다. 4) 시표의 파장과 시감명도가 같은 경우, 시표유무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가 시표색갈 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보다 넓었다. 5) 시표의 파장이 같고 시표유무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 시표광원의 명도를 높인 경우 에는 명도가 낮은 경우보다 시야가 넓었다. 그러나 시표색갈인지법으로 검사한 결과, 광 원의 명도를 높인 경우에도 변화는 뚜렷하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적으로 측정된 시야의 형태와 넓이를 판정함에 있어서는 피검사자의 연령을 고려해야 될 것으로 판단되며, 시야검사를 시행함에 있어서는 시표의 이동방향 선택에 유의해야 할 것이며, 색시야 검사에 있어서는 색시표의 명도에 대한 정확한 기준을 결정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영문] The practice and clinical application of perimetry is influenced by many factors. Among these factors the author, in particular, studied on Ⅰ. the relationship of age to the visual field(ExperimentⅠ), 2. the relationship of direction of movement of target to the visual field(ExperimentⅡ) and 3. the relationship of target intensity on color perimetry(ExperimentⅢ). The author performed perimetry on 201 healthy Koreans with Goldmann perimeter and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ExperimentⅠ.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age to the visual field showed that the isopter was largest in the second decade and thereafter decreased with advancing age, especially in the superior field. ExperimentⅡ.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arget to the visual field showed that the isopter obtained by moving the target from the center to the periphery was larger than the isopter obtained by moving the target from the periphery to the center. ExperimentⅢ.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target intensity on color perimetr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1) Using equal target radiant intensity and target recognition method, the color isopter for red is noticeably smaller than the isopter for white or green. 2) Using equal target luminous intensity and target recognition method, the isopters for targets of different wavelengths were similar. 3) Using equal target luminous intensity and target color recognition method, the isopters for targets of different wavelengths were different. 4) Using a target of equal wavelength and equal luminous intensity, the isopter obtained by target recognition method is larger than that obtained by target color recognition method. 5) Using a target of equal wavelength and target recognition method, the isopter for higher target intensity was larger than that of lower target intensity. However, with target color recognition method, change in isopters was not apparent even with higher target intensity.-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restrictio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한국인의 정상 시야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Studies on the normal visual field of Koreans-
dc.typeThesis-
dc.identifier.url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22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ong, Young Tae-
dc.type.localDissertation-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3. Dissertation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