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 | 자궁 적출술 전후 정신.신체적 변화 | Thesis |
2010 | 자궁 탈출증의 치료로 시행한 복식 전자궁 절제술 후 천골 질벽 고정술과 질식 전자궁 절제술 후 McCall 더글라스와 성형술의 비교 | Korean Journal of Urogynecology (대한비뇨부인과학회지) |
2005 | 자궁경부 미세침윤암의 처치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지) |
1998 | 자궁경부 및 질에 발생한 악성 흑색종의 1 예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1989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과 Human papillomavirus type 16 및 type 18 DNA의 상호 연관성에 관한 연구 | Dissertation |
2001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및 침윤성 자궁경부암에서의 혈관내피성장인자 및 티미딘 인산화제의 발현 : 임상병리적 예후인자 및 환자 생존율과의 연관성
| Thesis |
1986 | 자궁경부 상피내 종양 처치에 있어서 질확대경 조준하 원추형 생검의 효용성 | Thesis |
2004 | 자궁경부 상피내암 환자의 처치로써 질확대경 조준하 자궁경부 원추형 생검술 및 자궁 내구 소파술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1979 | 자궁경부 상피내암의 처치에 관한 연구 | Thesis |
2003 |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환자에서 외과적 절제술 후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추이
| Thesis |
2004 | 자궁경부 상피내종양 환자에서 외과적 절제술이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추이에 미치는 영향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2006 | 자궁경부 상피내종양에서 p16(INK4a)와 pRb의 이상 발현과 고위험 군 인유두종바이러스 감염 및 재발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지) |
2014 | 자궁경부 세포검사에서 makorin ring finger protein1(MKRN1) 면역세포화학의 유용성
| Thesis |
2001 | 자궁경부 신생물에서의 티미딘 인산화제의 발현 및 임상적 예후인자와의 관련성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2002 | 자궁경부 종양 환자에 있어 인유두종바이러스 DNA chip 검사와 하이브리드캡쳐 II 검사 간의 유용성 비교 | Korean Journal of Gynecologic Oncology and Colposcopy (대한부인종양,콜포스코피학회지) |
1974 | 자궁경부 질환의 세포학적 및 병리조직학적 비교연구 | Thesis |
1998 | 자궁경부 편평상피세포암에서 신생혈관의 임상적 의미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2000 | 자궁경부 편평상피암의 방사선치료시 spontaneous apoptosis와 p53 단백질 발현의 임상적 의의
| Thesis |
1999 | 자궁경부로 단독 전이된 유방암 1 예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1984 | 자궁경부암 강내 방사선조사에 있어서 고 및 저 선량율 방법에 의한 선량율 비교 고찰 | Thesi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