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분야
연구 내용
▷ 5-아미노살리실산,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 치료에 반응이 없는 중등도~ 중증의 궤양성 대장염 치료를 위해 다양한 생물학적 제제들이 사용되고 있다. 베돌리주맙은 α4β7 인테그린을 특이적으로 차단하여 장으로의 T세포 동원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알려져 있고, 현재 궤양성 대장염에서 활발히 사용되는 약물이다. 베돌리주맙 초치료 후 임상관해, 임상반응에 도달하는 반응군 (responder)도 있지만, 비반응군 (non-responder) 환자도 존재하며, 비반응군은 약물 투여 빈도를 늘릴 수 있다. 약물 증량 후 임상관해, 임상반응에 도달하는 반응군 (responder)도 있지만, 비반응군 (non-responder) 환자도 존재하게 된다.
▷ 최근 연구에서는 점막 및 말초 혈액 면역 세포 표현형과 전사 프로필이 IBD 환자의 베돌리주맙 치료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할 수 있음을 보고한 바 있고, 말초 혈액 조절 T 세포 발현 유전자는 베돌리주맙에 대한 반응의 좋은 예측변수일 것으로 보고하였지만, 베돌리주맙 용량 증가의 반응성과 면역 세포 표현형 및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 사이의 관계는 아직 정립되지 않았다. 또한 궤양성 대장염 발병 기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생물군집은 이전 연구에서 베돌리주맙에 대한 반응을 예측할 수 있음이 밝혀졌지만, 베돌리주맙 용량 증가의 반응성과 장내 미생물군집 사이의 관계는 아직 조사되지 않았다. 베돌리주맙 반응의 조기 확인을 위한 치료 약물 모니터링의 사용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충되는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단일 세포 분석, 전세체 면역세포 표현형 분석, 혈중 약물 농도 분석,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통해 중등도에서 중중의 궤양성 대장염 환자에 있어 베돌리주맙 치료 반응군 예측 인자를 발굴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