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3 433

Cited 0 times in

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system on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창성-
dc.contributor.author조규성-
dc.date.accessioned2014-12-21T17:32:43Z-
dc.date.available2014-12-21T17:32:43Z-
dc.date.issued2007-
dc.identifier.issn0250-3352-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97792-
dc.description.abstract골형성 유도 단백질(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은 성장이나, 골형성과정에서 중용한 역할을 한다고 입증되었고 그것의 운반체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하지만 수직압이 존재하는 곳에서 골증대술에 적용할 수 있을 만큼 강한 공간유지능력이 있는 운반체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았다.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MBCP block)은 공간유지능력이 뛰어나며 강한 수직압을 견딜수 있는 골대체물질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MBCP block을 골형성유도 단백질(rhBMP-2)의 운반체로 사용하여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 적용하였을 때, 골 형성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36마리의 웅성백서에서 8mm 지름을 갖는 임계크기의 두 개부 결손을 형성하였다. 20마리씩 2개의 군으로 나누어 MBCP block만 이식한 군, MBCP block을 운반체로 사용하여 농도 0.025mg/ml rhBMP-2를 이식한 군으로 나누어 술 후 2주와 8주에 치유결과를 조직학적, 조직계측학적으로 비교 관찰 하였다. 조직계측학적 관찰 결과, rhBMP-2/MBCP block 군에서 MBCP block군에서 보다 2, 8주 모두 골밀도(bone density)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P<0.01). 각 군에서도 8주째가 2주째보다 골밀도가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총조직 형성량 (augmented area)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이 연구 결과, 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MBCP block은 rhBMP의 운반체로 사용하였을 때 신생골 형성에 유의한 효과가 있을뿐 아니라 공간유지능력이 우수해서 수직압이 존재하는 골증대술(bone augmentation)시 rhBMP의 운반체로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format.extent397~407-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The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 Block system on Bone Formation in Rat Calvarial Defects-
dc.title.alternative백서 두개골 결손부에서 bone morphogenetic protein-2의 전달체로서 macroporous biphasic calcium phosphate-block의 골재생효과-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eriodontology (치주과학)-
dc.contributor.googleauthorYoung-Jun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Sung-Won Jung-
dc.contributor.googleauthorChang-Sung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Kyoo-Sung Cho-
dc.contributor.googleauthorGyung-Joon Chae-
dc.admin.authorfalse-
dc.admin.mappingfalse-
dc.contributor.localIdA01041-
dc.contributor.localIdA03810-
dc.relation.journalcodeJ0149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Kim, Chang Sung-
dc.contributor.alternativeNameCho, Kyoo S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Kim, Chang Sung-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Cho, Kyoo Sung-
dc.rights.accessRightsfree-
dc.citation.volume37-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397-
dc.citation.endPage40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eriodontology (대한치주과학회지), Vol.37(2) : 397-407, 2007-
dc.identifier.rimsid47713-
dc.type.rimsART-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Periodontics (치주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