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202

Cited 0 times in

미숙아에서의 뇌손상

Authors
 박국인 
C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대한의학협회지), Vol.37(7) : 843-850, 1994-07 
Journal Title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대한의학협회지)
ISSN
 0023-4028 
Issue Date
1994-07
Abstract
미숙아세어 자주 동반되는 뇌손상의 발생빈도는 먼저 미국의 경우 한해 약 42,000명의 극소체중아(출생체중 1500mg 미만)가 출생하여 85%가 생존하며, 생존한 환아중 5~15%에서 소위 '뇌성마비'라고 하는 주요강직성운동장애(major spastic motordeficit)가 발생하고, 생존아의 25~50%에서는 학습장애와 같은 비교적 경증의 발달장애를 보인다고 한다(1~3).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정확한 통계 수치를 알 수없으나 대개 극소체중아는 출생한 신생아의 약 1%(0.9~2.6%)를 차지한다 하므로(4)한해 약 60만 명의 신생아가 출생하는 우리나라에서는 약 6,000명의 극소체중아가매년 태어날 것으로 추정할 수 있고, 선진 제국에 비하여 아직은 높은 신생아 사망률과 유병률을 보이고 있어(5,6) 뇌손상에 의한 신경발달학적 후유증이 동반된미숙아는 매년 누계되어 전체적으로 그 수가 상달할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뇌손상이 있는 미숙아의 주요한 신경학적 증상은 강직성 운동장애인데 강직성사지마비(spastic quadriparesis), 주로 상지보다는 하지에 장애가 나타나는 강직성양마비(spastic diplegia), 그리고 강직성편마비(spastic hemiparesis) 등을 들 수가 있고그 외 지능장애가 종종 동반되며 경증의 운동 및 인지장애도 높은 빈도로 발생한다.
Files in This Item:
T199401753.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ediatrics (소아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Yonsei Authors
Park, Kook In(박국인) ORCID logo https://orcid.org/0000-0001-8499-9293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525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