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 102

Cited 0 times in

비외상성 후천마비사시의 원인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승한-
dc.date.accessioned2023-07-12T00:15:40Z-
dc.date.available2023-07-12T00:15:40Z-
dc.date.issued1994-01-
dc.identifier.issn0378-6471-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94974-
dc.description.abstract저자들은 1991년 1월부터 1992년 11월까지 신촌세브란스병원 안과에 내원한 환자중 비외상성 후천 마비사시 환자 41명을 대상으로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령분포는 2세부터 73세였다. 그 원인별 분포는 혈관성인경우 12예, 뇌종양 3예, 염증성질환을 앓고 난 후가 3예, 원인을 알 수 없었던 경우가 19예였으며 그밖의 원인이 4예였다. 뇌인성인 경우 안과적 증상만으로 내원하여 뇌전산화단층촬영이나 핵자기공명영상을 시행 받은 후 처음 진단되었으며, 뇌전산화단층촬영이나 핵자기 공명영상을 시행한 환자 20명중 7명(32%)에서 그 원인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비외상성 후천 마비사시의 원인을 찾기 위하여 이학적 검사, 혈액검사, 소변검사, 흉부 X선검사외에 뇌전산화단층촬영 또는 뇌자기공명영상을 반드시 시행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안과학회-
dc.relation.isPartOf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대한안과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비외상성 후천마비사시의 원인에 대한 임상적 고찰-
dc.title.alternativeNontraumatic Aquired Paralytic Strabismus-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김희선-
dc.contributor.googleauthor이종복-
dc.contributor.googleauthor한승한-
dc.contributor.localIdA04303-
dc.relation.journalcodeJ01838-
dc.identifier.eissn2092-9374-
dc.contributor.alternativeNameHan, Seung Ha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한승한-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9-
dc.citation.startPage1127-
dc.citation.endPage1131-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Journal of the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대한안과학회지), Vol.35(9) : 1127-1131, 1994-01-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Ophthalmology (안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