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0 1394

Cited 0 times in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관련 요인 분석

Other Titles
 Delirium-related factors in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송주은 
College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Department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Degree
석사
Issue Date
2022-02
Abstract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관련 요인 분석 본 연구는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중환자실 재원 중 발생한 섬망의 발생률 및 섬망 발생 관련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전향적 조사연구이다. 2021년 6월 13일부터 8월 17일까지 서울 소재 Y 대학병원 외과계 중환자실에 입실한 만 18세 이상의 성인 환자 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10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Heo et al. (2011)의 한글판 CAM-ICU를 사용하여 섬망을 측정하였으며, 전자의무기록을 통해 섬망 발생 관련 요인을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WIN 28.0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였고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X2-test 및 t-test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 105명 중 섬망 양성은 20명으로 19%의 섬망 발생률을 보였다. 2.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60.12±12.67세였으며 평균 APACHE II 점수는 17.72±8.22점이었다. 중환자실 입실 전 병원 재원일수는 평균 6.72±10.09일, 중환자실 재원일수는 평균 3.40±2.74일이었다. 3. 섬망은 중환자실 입실 2일째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75%) 평균 섬망 발생 시기는 2.30±0.57일이었다. 4. 본 연구 결과의 섬망 발생 관련 요인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일반적, 임상적 요인으로 과거 섬망 경험, 중환자실 입실 전 Statin 투여, 중환자실 입실 전 혈액 검사 중 Albumin, Sodium, Hemoglobin과 중환자실 입실 후 혈액 검사 중 Hemoglobin, Hematocrit, Albumin, ALT, Total bilirubin, BUN, Creatinine, Glucose, Potassium, CRP, PaO2에서 섬망군과 비 섬망군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한편 대상자의 치료 관련 요인으로는 기계 환기, 산소 공급량, 진정제, 마약성 진통제, PCA, Steroid, 승압제, 신체 억제대, 수혈, Swan-ganz catheter, 비위관(Levin tube), 중심정맥관 개수 및 동맥관 개수가 섬망 여부와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섬망군에서 중환자실 입실 전 병원 재원 일수(17.21±16.80일 vs 4.38±5.82일, p=.004)와 중환자실 재원일수(5.80±4.54 vs 2.84±1.71, p=.009)가 더 길었으며, APACHE II 점수(24.90±6.84 vs 16.04±7.61, p<.001)가 더 높았다. 한편, PCA 사용, 중환자실 입실 전 Statin을 투여한 환자군에서 섬망 빈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5. APACHE II 17점 이상인 대상자에서는 중환자실 입실 전/후 혈액 Albumin, 수술 중 저혈압, 신체 억제대, 산소 공급량이 섬망군과 비 섬망군 간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섬망군에서 중환자실 재원 전 병원 재원일수(16.50±16.99 vs 6.29±7.84, p=.024)와 중환자실 재원일수(6.06±4.70 vs 3.63±2.24, p=.011)가 더 길었다. 본 연구는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위험 요인에 대해 포괄적으로 분석한 연구로 추후 섬망 발생 예방 및 중재 전략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하였으며,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 전수를 대상으로 시행한 전향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섬망 발생은 복합적인 소인 요인(Predisposing factor)과 유발 요인(Precipitating factor)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중환자 간호 시 섬망 위험 요인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며, 이를 토대로 섬망 예방 중재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추후 다기관에서 외과계 중환자실 환자의 섬망 위험 요인에 대해 규명하여 이를 바탕으로 섬망 발생 예방 및 중재 전략 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제어: 외과계 중환자실, 섬망, 발생률, 위험요인, 섬망 관련 요인

Background: Patients in the intensive care unit(ICU)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complex delirium risk factors, and they generally have a higher incidence of delirium than patients in the general ward. The prevention of delirium and early termination of delirium are very important for patients’ positive prognosis. Aim: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delirium and the factors related to delirium in the surgical intensive care unit(SICU). Design: This study used a prospective research approach. Method: This study enrolled 105 patients from a SICU in South Korea. Patients were evaluated for delirium every day from the day after entering the SICU to the day of discharge (or until the fifth day in ICU) using CAM-ICU(Confusion Assessment Method for the Intensive Care Unit). Result: Delirium occurred in 20 patients(19%) in SICU. The length of stay before ICU admission and length of stay in the ICU were longer, and the APACHE II(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score was higher in the delirium group. In addition, the frequency of mechanical ventilation, use of sedatives, narcotic analgesics, inotropics, decrease in hematocrit, and increase in BUN(Blood urea nitrogen)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delirium group.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related to the occurrence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n APACHE II score of 17 points or higher were low serum albumin before and after ICU admission, use of physical restraint, high concentration of oxygen supply, and hypotension during surgery. Moreover among patients with an APACHE II score of 17 points or higher, length of stay before ICU admission and length of stay in the ICU were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elirium group. The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in high-risk patients with an APACHE II score of 17 or higher were partially different from the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in all patient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related to delirium occurrence according to the APACHE II score.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APACHE II score. Keywords: Surgical intensive care unit, Delirium, Incidence, Delirium-related factor
Files in This Item:
T01514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984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