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2 227

Cited 0 times in

외상 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병훈-
dc.date.accessioned2021-12-27T17:23:40Z-
dc.date.available2021-12-27T17:23:40Z-
dc.date.issued1995-01-
dc.identifier.issn1225-8709-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6607-
dc.description.abstract외상후 뇌손상은 대표적이며, 가장 중요한 신경정신계 질환의 하나이다. 더욱이 외상후 뇌손상 환자들은 각종의 사고 및 산업재해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인지기능의 장애로 인한 다양한 기질성 정신장애로 고통을 겪게 된다. 따라서 외상후 뇌손상은 손상의 시점에서부터 정확하고 올바른 평가는 물론 손상후의 경과 및 치료대책의 수립에 있어서 체계적이며 종합적인 신경인지기능의 평가는 필수적이다. 왜냐하면 신경인지기능평가는 뇌의 손상부위와 이와 관련된 기능장애 및 행동의 변화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해 주기 때문이다. 신경인지기능 평가의 영역은 지각, 운동기능은 물론 주요인지기능인 기억, 언어, 실행 및 감정조절능력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외상후 뇌손상환자들은 손상부위 및 정도에 따라 신경인지기능의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대표적인 신경인지기능평가 도구로는 KWIS, Halstead-Reitan, Luria-Nebraska batteries, 특히 전두엽기능검사인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를 비롯하여, 현재는 PC/S Vienna Test System 및 Stim등의 각종 전산화 인지기능검사가 개발되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즉 외상후 뇌손상환자를 위한 신경인지기능평가의 목적은 뇌손상과 관련된 신경인지기능장애를 정확히 평가하여, 환자 개개인에 적합한 인지재활치료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다. 물론 여기에는 신경정신상태검사(neuropsychiatric mental status examination)를 통하여 외상 후 뇌손상의 경과 및 예후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나이, 의식소실 및 외상후 기억 손상 시간의 정확한 측정은 물론 심리 사회 문화적인 상태와 두부외상전 환자의 지적수준 및 사회 적용기능이 함께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생물정신의학회-
dc.relation.isPartOf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생물정신의학)-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외상 후 뇌손상의 신경인지기능 평가-
dc.title.alternativeNeurocognitive Function Assessment of Traumatic Brain Injury-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오병훈-
dc.contributor.localIdA02368-
dc.relation.journalcodeJ01967-
dc.identifier.eissn2005-75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Oh, Byong Ho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오병훈-
dc.citation.volume2-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177-
dc.citation.endPage185-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생물정신의학), Vol.2(2) : 177-185, 1995-01-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Psychiatry (정신과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