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 231

Cited 0 times in

Seizure Propagation on Ictal Brain SPECT : A Pitfall in the Localization of the Seizure Focu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영훈-
dc.date.accessioned2021-09-28T08:14:19Z-
dc.date.available2021-09-28T08:14:19Z-
dc.date.issued1996-12-
dc.identifier.issn1225-6714-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835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 있어 발작기 및 발작간 뇌스캔의 정확도를 알아보고 발작기 뇌 스캔에서 나타나는 간질 확산이 정확한 간질 병소를 국소화 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15명의 복잡 부분 발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간질 병소의 최종적인 국소화는 두피 및 발작 뇌파, 피질 뇌파, 자기 공명 영상, 임상양상 및 병리 소견을 종합한 근거로 하였다. 발작기 뇌스캔은 뇌파상 발작 중 또는 환자가 aura를 호소할 때 Tc-99m HMPAO 20mCi(740 MBq)를 정맥주입후 시행하였으며 발작간 뇌스캔은 발작기 뇌스캔 후 3일 이내 임상적으로 발작 증상이 없는 기간에 시행하였다. 간질 병소는 우측 측두엽이 8예, 좌측 측두엽이 6예, 측두엽 이외의 기원이 1예 였다. 발작기 뇌스캔상, 모두 11예(73.3 %)에서 단발성 또는 다발성 섭취 증가가 간질 병소 및 간질확산 부위에서 관찰되었으며, 간질 병소에만 국한된 섭취 증가는 4예(26.7%)에 불과 하였다. 발작간 뇌스캔에는 모두 11예(73.3 %)에서 간질 병소에만 섭취가 감소되었다. 자기 공명 영상에서는 8예(53.3 %)에서 hippocampal sclerosis를 포함한 간질 병소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로 복잡 부분 발작 환자에서, 간질 확산이 발작기 뇌 스캔 중 자주 관찰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러한 간질 확산에 따른 다발성 방사능 섭취가 발작기 뇌스캔상, 간질 병소의 국소화에있어 한계가 있음을 결론 내릴 수 있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languageKorean-
dc.publisher대한핵의학회-
dc.relation.isPartOf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대한핵의학회지)-
dc.rightsCC BY-NC-ND 2.0 KR-
dc.titleSeizure Propagation on Ictal Brain SPECT : A Pitfall in the Localization of the Seizure Focus-
dc.title.alternative발작기 뇌혈류 스캔에서의 간질 확산에 관한 연구 : 간질 병소 국소화의 오류-
dc.typeArticle-
dc.contributor.college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Nuclear Medicine (핵의학교실)-
dc.contributor.googleauthorMan Deuk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Jong Doo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Young Hoon Ryu-
dc.contributor.googleauthorDo Joong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Jai Keun Kim-
dc.contributor.googleauthorSung Wook Moon-
dc.contributor.googleauthorPyeong Ho Yoon-
dc.contributor.googleauthorChang Hoon Lee-
dc.contributor.googleauthorByung In Lee-
dc.contributor.localIdA02485-
dc.relation.journalcodeJ02071-
dc.contributor.alternativeNameRyu, Young Hoo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유영훈-
dc.citation.volume30-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463-
dc.citation.endPage46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대한핵의학회지), Vol.30(4) : 463-468, 1996-12-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Nuclear Medicine (핵의학교실) > 1. Journal Paper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