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75 589

Cited 0 times in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의 장기 추적 관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서미리-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40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95-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단일 기관으로 내원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에서 생존율을 분석하고 이에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 것이다. 2005년 1월부터 2009년 12월 사이 본원에 내원한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 의심 환자 212명 중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2014년 12월까지 추적하여 생존율과 이에 이에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을 분석하였다. 212명 중 182명이 진단되었고, 182명의 발병 후 3년 생존율은 61.5%, 5년 생존율은 40.1%였으며, 진단 후의 3년 생존율은 49.5%, 5년 생존율은 24.2%였다. 남성일 때, 발병 당시 연령이 65세 이상인 경우 생존에 대한 예후가 나쁜 것으로 분석되었고, 발병 당시 연수근 마비 증상이 동반된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는 예후가 매우 나쁜 것으로 알려져 있었지만 본 연구를 통해 환자들의 생존율을 분석해본 결과 이전 연구들과 비교하였을 때 탁월한 결과를 보였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환자의 장기 추적 관찰-
dc.title.alternativeA long term outcom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Long term outcome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4582-
dc.contributor.alternativeNameSuh, Mi Ri-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서미리-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Rehabilitation Medicine (재활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