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2 1811

Cited 0 times in

직접항글로불린검사와 항체용출검사의 임상적 의의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나현진-
dc.date.accessioned2017-07-11T16:10:40Z-
dc.date.available2017-07-11T16:10:40Z-
dc.date.issued2016-
dc.identifier.uri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92-
dc.description의학과/석사-
dc.description.abstract직접항글로불린검사는 환자에게 나타나는 면역성과 비면역성 용혈 반응을 구별하기 위해 시행하는 검사이며, 이와 병행하여 항체용출 검사를 시행할 경우 부착된 항체의 특이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1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최근 10년간 세브란스병원에서 직접항글로불린검사와 항체용출검사가 동시에 의뢰되었던 환자의 검사결과를 기반으로 검사 의뢰 사유에 따라 질병을 분류하고, 결과에 대해 분석하여 두 검사의 임상적 의미를 평가 하였다. 분석기간 중 536명의 환자에서 1,186건의 검사가 의뢰 되었으며, 환자의 검사소견 및 임상적 진단은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평가하였다. 동시에 검사가 의뢰되었던 사유는 태아/신생아 용혈성질환의 진단, ABO 부적합 조혈 모세포 이식 및 고형장기 이식, 용혈성빈혈 사례로 분류하였다. 환자의 임상적 용혈 여부는 환자의 혈색소, 망상적혈구(%), 총빌리루빈, 젖산탈수소효소, 합토글로빈의 검사 소견과 의무 기록을 중심으로 판정하였으며, 용혈성빈혈 사례의 경우 비예기항체 선별 및 동정검사 결과를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직접항글로불린검사와 항체용출검사 결과를 음성과 음성, 음성과 양성, 양성과 음성, 그리고 양성과 양성으로 나누고, 임상적 진단과 용혈의 검사 소견을 연관하여 두 검사 결과가 갖는 임상적 의의를 분석하였다. 검사가 의뢰된 환자는 생후 28일 이하의 신생아가 가장 많았으며, 의뢰 사유 또한 태아/신생아 용혈성질환을 확인하기 위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태아/신생아 용혈성질환이 의심되는 환아에서는 항체용출검사의 결과 및 환아의 적혈구가 감작된 정도, 즉 직접항글로불린검사 양성 유무에 따라 태아/신생아 용혈성 질환이 진단된 환아의 수를 알 수 있었으며, 여기서 항체용출검사의 민감도가 직접항글로불린검사보다 더 높았다. 그러나 환아의 적혈구가 감작된 정도에 따른 용혈의 차이는 없었다. ABO 부적합 조혈모세포 이식에서 이식 후 직접 항글로불린검사 및 항체용출검사는 모두 음성인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일부 양성을 보이더라도 용혈성 빈혈의 임상적 또는 검사실 소견과 연관되지는 않았다. 반면 ABO 부적합 고형장기 이식에서는 두 검사가 모두 양성인 경우에 두 명 가운데 한 환자에서 용혈성 빈혈의 임상적 또는 검사실 소견과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검사 건수가 3명으로 그 의의를 단정할 수는 없었다. 용혈성빈혈 사례 조사를 위해 검사가 의뢰된 환자들은 직접항글로불린검사, 비예기항체 선별 및 동정검사와 자가대조, 항체용출검사 결과에 따라 면역성 용혈성빈혈로 진단 된 환자의 수를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직접항글로불린검사의 민감도가 항체용출검사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직접항글로불린검사와 항체용출검사는 태아/신생 아 용혈성질환에서 동시에 의뢰될 경우 더 민감하고 특이적으로 진단이 가능하였다. ABO 부적합 조혈모세포 이식에서 두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 두 검사 결과에 따라 용혈의 정도에 차이가 없어 이식 후 용혈성 빈혈이 의심될 때 선별적으로 의뢰하는 경우 진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용혈성빈혈 사례에서는 두 검사를 동시에 시행하여 용혈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추정할 수 있었으며, 면역성용혈성 빈혈을 확인하는 검사로서는 직접항글로불린검사만으로 충분한 민감도를 보여주었다. 다만 두 검사에서 모두 음성인 경우도 낮은 비율로 존재하기 때문에 면역성용혈성빈혈을 확진 하기 위한 추가검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었다.-
dc.description.statementOfResponsibilityopen-
dc.publisher연세대학교 대학원-
dc.rightsCC BY-NC-ND 2.0 KR-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직접항글로불린검사와 항체용출검사의 임상적 의의-
dc.title.alternativeThe clinical significance of direct antiglobulin tests and antibody elution testsClinical significance of direct antiglobulin tests and antibody elution tests-
dc.typeThesis-
dc.contributor.departmentDept. of Laboratory Medicine (진단검사의학교실)-
dc.contributor.localIdA04555-
dc.contributor.alternativeNameNah, Hyunji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나현진-
dc.type.localThesis-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Dept. of Laboratory Medicine (진단검사의학교실) > 2. Thesis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