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5 704

Cited 0 times in

척추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nal anesthesia patients' detention time in the recovery room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pinal anesthesia patients' detention time in the recovery room 
Authors
 김선미 
Issue Date
2016
Description
병원경영 전공,/석사
Abstract
이 연구는 척추마취 하에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회복실 체류시간을 조사하고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척추마취 환자의 특성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을 조사하고 일반적 특성, 수술 전, 중, 후 관련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의 차이를 파악한 다음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마취방법에 따라 더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회복실이라는 한정된 공간과 인력의 효율적인 운영에 필요한 기본 정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에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 모형과 연구 가설을 세우고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회복실 체류시간 관련 정보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서울지역에 위치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척추마취를 시행한 환자 300명의 원무기록을 확인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는데 회복실 체류시간과 일반적 특성, 수술 전, 중, 후 요인은 기술통계를 이용하였고 각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의 차이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여 t-test, ANOVA를 이용하였으며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척추마취 환자의 회복실 평균 체류시간은 62.4분이었고 31-60분이 37.7%, 61-90분이 23.3%를 차지하였으며, 환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 성별이 여자인 경우,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키가 150cm미만인 경우에 회복실 체류시간이 유의하게 길었으나 그 외의 변수인 연령, 음주여부, 체중, 체질량 지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변량 분석 결과, 수술 전 요인에 따른 회복실 체류시간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수술 중 요인으로는 혈압이 불안정한 경우, 저혈압이 있는 경우, Epidural PCA를 한 경우, 마취시간이 60분 이하로 짧은 경우, 수액공급량이 300ml미만이거나 1000ml이상인 경우, 순환기계약물을 사용한 경우에, 수술 후 요인으로는 척추마취 범위가 Thoracic 4이상인 경우, 혈압이 불안정한 경우, 부정맥이 있는 경우, 순환기계약물을 사용한 경우, 항구토제를 사용한 경우, 수혈을 한 경우에 회복실 체류시간이 유의하게 더 길었다.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회복실 입실시 척추마취 범위가 높을수록, 수술 후 부정맥이 있는 경우, 수술 후 오심 및 구토로 인하여 항구토제를 사용한 경우, 수술 후 수혈을 한 경우, 수술 중 순환기계 약물을 사용한 경우에 회복실 체류시간이 유의하게 길었다. 반면에 수술 중 오심 및 구토로 인하여 항구토제를 사용한 경우에는 오히려 회복실 체류시간이 유의하게 짧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척추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의 일반적 특성이나 수술 전 요인보다 수술 중, 수술 후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서 주목할 점은 수술 중에 출혈이나 오심 및 구토가 있더라도 수술 중에 수혈이나 항구토제 사용과 같은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회복실 체류시간에 영향이 없거나 오히려 회복실 체류시간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에 척추마취 환자의 회복실 체류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마취과 의사와의 정보공유와 상호협조를 통하여 척추마취 환자의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진료 지침(Critical Pathway)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Files in This Item:
T013995.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9211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