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351

Cited 0 times in

가정 내 간접흡연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ssociation between second-hand smoking at home and stress in adolescence 
Authors
 황혜미 
Issue Date
2015
Description
보건대학원/석사
Abstract
간접흡연은 직접흡연과 마찬가지로 폐암, 유방암, 심혈관질환, 천식을 비롯한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아동에게는 중이염, 폐 성장 지연, 천식 악화 등 신체적인 영향 뿐 아니라 아동의 우울, 불안, 주의집중장애, 과잉행동 등 정신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가정 내 흡연자들과 함께 생활하는 가족들은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신체적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적 건강도 위협받고 있다. 우리나라 청소년의 경우 38%가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있으며 선행연구에서도 간접흡연이 정신건강에 부적정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간접흡연과 청소년의 스트레스와의 관계를 연구한 논문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간접흡연, 특히 가정 내에서의 간접흡연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년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 참여한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3년까지 총 223,06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남학생과 여학생으로 구분하여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백분율을 실시하였다.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보정한 후 가정 내 간접흡연이 청소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이 연구대상자는 남학생 114,485명(51.3%), 여학생 108,581명(48.7%)으로 남학생의 36.1%(41,305명), 여학생의 49.8%(54,271명)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남학생의 36.7%(42,818명), 여학생의 39.1%(43,763명)에서 간접흡연에 노출되어 있으며, 간접흡연에 노출된 남학생의 39.4%(16,837명), 여학생의 54.1%(23,720명)에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다. 둘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차비(odds ratio)를 분석한 결과, 간접흡연과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은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은 군에 비해 간접흡연에 노출된 군이 스트레스를 느낄 확률은 남학생은 1.11(95%CI 1.08-1.14), 여학생은 1.14(95%CI 1.10-1.1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간접흡연 노출일수에 따른 스트레스와의 관련성은 간접흡연에 노출되지 않은 군에 비해 스트레스를 느낄 확률은 남학생은 주4일 노출은 1.08(95%CI 1.00-1.17), 주5일 노출은 1.17(95%CI 1.06-1.29), 주6일 노출은 1.14(95%CI 1.00-1.30), 주7일(매일)노출은 1.38(95%CI 1.31-1.4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학생은 주3일 노출 1.07(95%CI 1.01-1.14), 주4일 노출은 1.15(95%CI 1.05-1.24), 주5일 노출은 1.26(95%CI1. 14-1.40), 주6일 노출은 1.19(95%CI 1.05-1.36), 주7일(매일)노출은 1.39(95%CI 1.32-1.4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간접흡연 노출일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P for trend <.0001).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 청소년은 가정 내 간접흡연으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었으며, 특히 여학생이 남학생 보다 간접흡연으로 스트레스를 느낄 위험이 높아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간접흡연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청소년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위협하고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먼저 부모에 의한 가정 내 간접흡연을 예방하여야 한다. 또한 성별에 따른 간접흡연 예방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간접흡연의 올바른 인식과 대처방법으로 간접흡연으로 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가정 내 흡연에 적극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정책개발이 요구된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879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