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82 1156

Cited 0 times in

정신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윤리풍토의 관계

Authors
 조혜경 
Issue Date
2015
Description
간호학과/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정신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 및 윤리풍토의 관계를 규명하여 정신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윤리적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은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기관생명윤리위원회에 연구 승인을 받은 후 2014년 10월 8일부터 2014년 11월 1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서울, 충남, 강원, 경남, 전남 소재의 5개 국립 정신의료기관의 간호부서장에게 자료수집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동의와 협조를 구하여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활용하였고 총 208부를 배부하였다. 설문지는 도덕적 민감성 도구(MSQ) 30문항, 공감능력(IRI) 28문항, 병원윤리풍토(HECS) 26문항, 일반적 특성 11문항의 총 9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설문지 중 총 182부를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의 성별은 여자가 90.7%로 남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평균 42.68세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8.91년이었으며 정신간호 임상경력은 평균 15.57년이었다. 교육수준은 전문학사가 37.9%로 가장 많았고 자격사항으로 정신보건간호사가 83.5%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8.1%로 가장 많았고 나이와 성별이 혼재된 간호대상자를 간호하는 경우가 20.3%로 가장 많았으며 만성 정신질환 전문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가 31.9%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 평균은 5.19점이었으며, 하위 영역은 관계지향성(6.16), 자율성(5.90), 원칙 준수(5.41), 선행 표현(5.24), 도덕적 갈등 경험(4.91), 도덕적 의미 구조화(4.49) 순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평균 2.49점이었으며 인지적 공감(2.61)이 정서적 공감(2.37)보다 높았다. 하위 영역별로 보면 관점 취하기(2.85), 공감적 관심(2.79), 상상하기(2.37), 개인적 고통(1.96) 순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윤리풍토는 3.73점이었으며 동료와의 관계(3.93), 환자와의 관계(3.84), 관리자와의 관계(3.75), 병원과의 관계(3.64), 의사와의 관계(3.59) 순이었다.
5.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은 40세 미만보다 50세 이상에서 높았으며, 임상경력 5년 미만일 때보다 10년 이상일 때 높았고, 교육수준이 4년제 간호학과 졸업일 때보다 석사과정 이상일 때 높았고, 일반간호사보다 수간호사에서 높았다.
6. 대상자의 공감능력은 여자가 남자보다 높았으며, 총 임상경력 5-10년일 때보다 10년 이상일 때 높았고, 정신간호 임상경력 10년 미만일 때보다 20년 이상일 때 높았다. 또한 정신보건간호사가 정신전문간호사와 일반간호사보다 높았으며, 수간호사 이상일 때 일반간호사보다 높았다.
7. 대상자가 지각한 윤리풍토 점수는 30-40세 일 때가 30세 미만과 40세 이상일 때보다 낮았으며, 총 임상경력 20년 미만보다 30년 이상에서 높았고, 정신간호 임상경력 5-10년일 때보다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일 때 높았으며 일반간호사보다 수간호사 이상에서 높았다.
8. 대상자의 도덕적 민감성과 공감능력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0.24, p=.001) 도덕적 민감성과 윤리풍토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0.17, p=.025) 공감능력과 윤리풍토 또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0.17, p=.025).
결론적으로 도덕적 민감성은 개인적 요소인 공감능력의 향상과 조직적 요소인 윤리풍토의 개선으로 증진될 수 있을 것이며 도덕적 민감성과 개인적, 조직적 요소의 관계 규명은 정신간호사의 도덕적 민감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재를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서 기여할 것이라 생각된다.
Files in This Item:
T013526.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6198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