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3 721

Cited 0 times in

T-분류법에 준한 하악골 수평 비대칭 환자의 하악골과 주위 연조직에 대한 3차원 형태 분석

Authors
 김진근 
Issue Date
2015
Description
치의학과/석사
Abstract
안면비대칭은 얼굴의 여러 부위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특히 하악골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하악골의 위치와 형태뿐만 아니라 골격 상부의 연조직의 변위에도 영향을 받아 그 양상이 매우 다양하다. 이에 따라 하악골 비대칭 환자들을 효과적으로 진단, 치료하기 위해 하악골 비대칭의 특성을 분석한 연구들이 보고되어 왔으며, 본 교실에서는 경조직과 연조직을 동시에 고려한 안면 비대칭의 새로운 분류 체계인 TML 분류법을 제시한 바 있다. 이 분류법 중 T-분류법은 하악골의 수평 비대칭을 이부 비대칭과 하악 우각부 비대칭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으로 하악골 비대칭을 세분화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 분류법에 3차원 공간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2차원 평면분석과 비교 분석한 연구도 진행되어 안면 비대칭의 형태적 다양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하지만 각 분류에 따른 안면 비대칭의 양상이 어떤 구조물의 크기, 형태, 위치 또는 배열의 차이에서 기인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특히 일반적인 비대칭의 방향성에 어긋나는 비전형적인 비대칭의 경우에 대한 하악골 각 구성 요소들 자체의 비대칭과 조합 및 배열의 특성에 대한 3차원적 분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는 T-분류의 5개 군에 속한 각 20명, 총 100명의 하악골에 대해 하악골의 골격 구조를 표현하는 대표적인 방법인Moss의 기능기질이론에 따른 기능 단위를 설정하여 이들의 크기, 방향, 관계의 차이점 및 연조직 부피의 차이점 등을 3차원 영상을 바탕으로 연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1. 하악골의 중심을 표현한 하악골
중심평면(Mid Sagittal Plane; MMP)은 T2군을 제외한 모든 군의 하악골 중심을 대표할 수 있었으며, 하악골 정중 시상면(Mid sagittal plane, MSP)에 대한 MMP의 편위 정도는 모든 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MSP에 대한 MMP의 편위 정도는 이부 편위 정도, 우각부 비대칭 정도와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T-분류법에 있어 MMP 사용의 적절성을 검증하였고 이번 연구에서 T-분류를 대표할 수 있는 하악골 중심 평면으로서 MMP의 유용함을 확인하였다.2. 이부 편위측과 비편위측의 하악과두와 하악체의 크기 및 MMP에 대해 기울어진 각도의 차이는 이부 편위 정도와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가졌다. 오훼돌기와 하악각 크기 차이는 모든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3. T1군의 하악골은 모든 기능단위에서 양측 기능단위 크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졌으며 이부 비편위측 하악골 구성요소의 직선적 과성장에 기인한 전형적인 비대칭 양상을 보였다.4. T2군 하악골의 이부 편위측의 하악지는 MMP를 향해 오목하며 이부 비편위측의 하악지는 MMP에 대해 편평한 곡률을 가졌으며, 하악지의 경조직은 우각부 편위측이 더 두꺼웠고 연조직은 이러한 경조직의 돌출을 보상하며 우각부 비편위측이 더 두꺼웠다. 이러한 T2 하악골의 형태적 특성들은 나머지 네 그룹과 다른 양상을 보였다.5. 이부 편위는 하악골 비대칭을 대표할 수 있는 항목이 될 수 있으며 우각부의 수평 비대칭은 어느 한 부위의 비대칭에 의한 결과가 아닌 여러 항목이 복합되어 나타나는 복잡한 비대칭의 결과였다.6. 본 연구의 비대칭 하악골에 대한 계측 결과들은
Moss의 기능기질 이론을 지지하지 않는 양상을 보였다. 하악각 수평 비대칭은 하악각 기능단위의 길이나 기울기, 하악각 주위의 경조직이나 연조직의 두께에 영향을 받지 않고 나타났으며, 하악지 주위의 경조직의 두께는 교근을 포함한 주위 연조직의 두께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이상의 결과로 3차원 공간에서의 하악골 기능 단위의 크기와 방향, 기울기를 분석하여 T-분류법에 따른 하악골의 입체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전형적인 비대칭 양상인 T1군과 비전형적인 비대칭 양상의 T2군 하악골의 경조직과 주위 연조직의 형태에 관한 형태를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하악골 기능 단위를 이용한 하악골의 분석은 하안면 수평 비대칭의 원인을 파악하여 수술 계획을 수립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추후 T-분류뿐만 아니라 M-분류와 L-분류, 그리고 경조직과 연조직의 TML분류가 다른 경우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을 시행한다면 여러 가지 안면비대칭의 구조와 형태에 대해 좀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을 기대한다.
Files in This Item:
T013400.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2. College of Dentistry (치과대학) > Dept. of Advanced General Dentistry (통합치의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6072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