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55 837

Cited 0 times in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불확실성과 불안 및 우울의 영향요인

Authors
 박지현 
Issue Date
2015
Description
노인간호전공/석사
Abstract
본 연구는 나이관련황반변성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불확실성의 정도와 불안 및 우울에 대해 파악하고,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여 임상에서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불확실성, 불안 및 우울을 낮추고자 하는 중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시도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2014년 11월 07일부터 2014년 12월 03일까지 서울시내 소재 S 대학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나이관련황반변성을 진단받은 65세 이상의 환자 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2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바탕으로 질문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설문지 작성 소요시간은 10~15분 정도였다. 도구는 불확실성 도구(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병원 불안 및 우울 평가 척도(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Scale, HADS), 시각기능설문지 25(NEI-VFQ 25) 중 활동의 어려움 부분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빈도 분석, t-test, ANOVA, Scheff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1.대상자의 불확실성은 총 165점 만점에서 평균 점수는 비삼출성 군은 107.77점(±15.90), 삼출성 군은 98.08점(±13.41)이었다. 나이관련황반변성 종류에 따른 불확실성은 삼출성 군보다 비삼출성 군에서 높았고(t=2.957, p=.004), 시력은 최대교정시력을 기준으로 logMAR로 환산했을 때 0.2이상일 경우 0.2미만인 대상자보다 불확실성이 유의하게 높았다(t=-2.220, p=.028). 2.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불안 총 합계는 비삼출성 군은 6.68점(±5.51), 삼출성 군은

6.81점(±4.84)이었다. 우울 총 합계는 비삼출성 군이 8.86점(±5.06), 삼출성 군이 7.93점(±4.53)이었다. 최종학력에 따른 우울은 중학교 졸업 이하인 환자가 유의하게 높았다(F=4.727, p=.011). 3.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의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불안이 높고(r=.290, p=.001), 우울이 높았다(r=.389, p˂.001). 불확실성이 높을수록(r=-.268, p=.003), 불안이 높을수록(r=-.457, p˂.001) 시력에 따른 생활의 어려움이 많았고 우울도 높았다(r=.683, p˂.001). 4.대상자의 불확실성과 질병관련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21.9%의 설명력을 보였으며(F=12.125, p˂.001), 시력에 따른 생활의 어려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t=-4.730, p˂.001). 대상자의 불확실성과 질병관련 특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36.6%의 설명력이 있었으며(F=23.944, p˂.001), 시력에 따른 생활의 어려움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t=-6.579, p˂.001). 불확실성이 나이관련황반변성 환자에게 높은 것을 고려하여 진단 시기부터 앞으로의 질병 진행과정 및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 교육함으로써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줄이고 불안 및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구체적이고 다각적인 교육이 제공되어야 함을 의료진에게 강조하고, 환자와 의료진 간의 의사소통이 지속적, 상호적으로 제공되어 환자에게 치료의 만족도와 순응도를 높이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할 것이다.
Files in This Item:
T01342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561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