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77 3411

Cited 0 times in

1,2-디클로로프로판의 취급 공정별 노출 수준에 대한 연구

Authors
 김지훈 
Issue Date
2015
Description
산업보건전공/석사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간과 신장 기능 및 중추신경계의 억제작용 등의 증상을 유발하고 최근 담관암 발생 추정물질로 알려진 1,2-디클로로프로판에 대한 취급공정별 사용실태 및 노출수준을 파악하여 향후 법적 관리수준 변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연구대상 및 방법: 국내에서 1,2-디클로로프로판을 취급하는 13개소 사업장을 대상으로 공정에 따라 개인시료 24개와 지역시료 102개를 채취하였으며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시료채취 및 분석방법은 OSHA에서 권고하는 공정시험법 7에 준하여 실시하였다.연구결과: 1,2-디클로로프로판 취급 근로자들의 개인노출수준은 기하평균 2.192±3.656 ppm이고 공정별로는 드럼통 포장작업을 하는 근로자들이 16.656±1.225 ppm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은 인쇄업 2.947±1.547 ppm, 직접세척 2.428±6.996 ppm, 스프레이세척 2.148±8.329 ppm, 초음파세척 1.446±1.847 ppm, 제조 1.218±1.975 ppm, 기계자동세척 1.140±1.281 ppm순이었다. 지역시료 농도는 기하평균 1.793±7.047 ppm으로 인쇄공정 농도가 5.743±3.047 ppm으로 가장 높았다. 종합적으로 측정결과는 개인시료가 지역시료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p<0.676), 공정간며 상관성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p<0.003). 노출기준 초과율은 국내기준(75 ppm) 대비 4.2 %, ACGIH 및 후생노동성기준(10 ppm) 대비 12.5 %, JSOH기준(1 ppm) 대비 62.5%이었다. 국소배기는 초음파세척과 제조공정에만 설치되어 있었으며 초음파세척공정 사업장 2개소만이 용도에 적합한 개인보호구를 사용 하고 있었다.결론:
1.2-디클로로프로판의 측정결과 국내 노출기준 초과는 1건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개정된 외국의 노출기준 대비 초과율은 높았다. 또한 대부분의 취급사업장의 화학물질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노출기준 개정과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수준의 강화가 필요하다.
Files in This Item:
T013399.pdf Download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4558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