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387

Cited 0 times in

강화지역 청소년의 4년간 혈청 지질의 변화와 지속성

Other Titles
 Four-year change and track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Authors
 이강희 
Issue Date
1997
Description
보건학과/석사
Abstract
[한글]

소아에서부터 청소년기까지 혈청 지질의 지속성(tracking)은 서구에서 행해진 연구들에 의해서 이미 잘 알려져 있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혈청 지질치의 변화를 조사하고 지속성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강화군에서 진행하고 있는 강화 아동 혈압 코호트(719명)에서 12세, 14세, 16세 세 번에 걸쳐서 공복 후 혈액검사가 가능했던 청소년 309명(남자 162명, 여자 147명)이다. 각 검사시기에는 혈청 지질(혈청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LDL 콜레스테

롤, HDL 콜레스테롤)과 함께 신체치수를 측정하였다. 16세에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청소년과 제외한 청소년을 t 검정을 이용하여 서로 비교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검사결과는 없었다.

연구방법은 우선 혈청 지질치의 변화양상을 보기 위하여 각 검사년도간에 반복 측정된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각 혈청지질의 지속성을 보기위해서는 첫째, 초기값을 바탕으로 사분위 집단으로 나누어 각 사분위 집단의 혈청지질치가 매 검사 연도마다 어떻게 변하는 지를 그림으로 나타내었다. 둘째, 혈청지질치의 검사 시기사이의 스피어맨 상관계수를 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각 검사 년도의 혈청지질치를 사분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초기검사에서 가장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위험도가 큰 집단에 속하는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남녀 모두 4년간 세 번의 검사에서 혈청 총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초기검사에서 160.7 ± 25.3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50.0 ± 27.8mg/dl, 여자가 초기검사에서 168.8 ± 29.7mg/.dl, 최종 추적검사에서 163.5 ±27.8mg/dl, 중성지방은 남자가 98.0 ±45

.7mg/dl에서, 114.1 ±67.9mg/dl로, 여자가 109.9±37.1mg/dl에서, 104.9 ± 47.6mg/dl로, L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93.6 ± 21.2mg/이에서, 83.0 ± 25.0mg/dl로, 여자가 98.0 ± 25.0mg/dl에서, 94.7 ±24.4mg/dl로, HDL 콜레스테롤은 남자가 47.6 ± 9.1mg/dl에서,

44.2 ±9.4mg/dl로, 여자가 48.8 ± 10.0mg/dl에서, 47.8 ± 11.3mg/이로 변화하였다. 반복측정한 분산분석 결과 남녀 모두 4년 동안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남자 LDL 콜레스테롤은 두 번의 추적검사에 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성지방은 남자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여자에서는 변화가 없었다. 혈청 지질의 초기 검사와 최종 검사간의 스피어맨 상관분석과 각 혈청 지질치의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집단에 잔류하는 백분율을 보면 지속성이 존재하였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에서 각 시기의 검사치들의 상관계수는 남자가 0.6 이상, 여자가 약 0.7 이상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첫 번째 검사에서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사람 중 두 번째 검사에서도 위험도가 가장 큰 사분위 집단에 속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42.9%)을 제외하고는 모두 50%이상이었다.

이들이 세 번째 검사에서도 같은 사분위 집단에 잔류한 백분율은 여자의 중성지방(25.7%)을 제외하고 모두 35%이상이었다.

결론적으로 소아기에서 청소년기에 이르는 동안 혈청 지질치는 지속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추적검사 횟수가 3회이고 연구기간이 전체 청소년기를 포함하지 못하였으므로 좀 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It has been well known that there is tracking phenomenon in the level of serum lipids. However, no study has been performed to examine the change and tracing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nges of serum lipids in Korean adolescents from 12 to 16 years of age, and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is tracking phenomenon in serum lipids level during the period.

In 1992 serum lipids(total cholesterol(TC), triglyceride(TG), LDL cholesterol(LDL-C), HDL cholesterol(HDL-C)) were measured in 318 males, 365 females who were 12 years of age in Kangwha Children's Blood Pressure Study. This cohort have been followed till 1996. Serum lipids level were examined in 1994 and 1996.

Among the original cohort 162 males and 147 females completed all three examinations in fasting state. To examine the effect of eliminating adolescents with in complete data, we compared serum lipids, blood pressure and anthropometric measures at baseline between adolescents with complete follow-up and adolescents who were withdrawn.

To examine the change of serum lipids we compared mean values of serum lipids according to age in males and females. Repaeated ANOVA was used to test the change accorcing to age. I used three methods to examine the existence of tracking. First, I showed the trends in serum lipids over 4-year period within quartile groups formed on the basis of the first-year serum lipids level to see whether or not the relative ranking of the mean serum lipids among the quartile groups remained in the same group for 4-year period. Second, I quantified the degree of tracking by calculating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very tests. Third, the persistence extreme quartile method was used. This method divides the population into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the initial measurement of blood lipids and then calculates the percent of the subjects who stayed in the same user or lower group at two follow-up measurements.

The decrease in levels was noted during 4 years for TC, LDL-C, primarily for boys. The level of HDL-C decreased between baseline and 1st follow-up for both boys and girls. Tracking, as measured by both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persistence extreme quartiles, was evident for all of the lipi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TC and HDL-C were 0.6 for men and 0.7 for women for 4 year intervals. The percents of subjects who stayed in the highest risk quartile group of every lipids at the first follow-up were more than 50% except TG in female(42.9%). The percents of subjects who also stayed in the highest risk quartiale group at the second follow-up were more than 35% except TG in female(25.7%).

It is evident that serum lipid levels track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in Korean community. Researches with longer follow-up would be needed in the future .
Appears in Collections:
1. College of Medicine (의과대학) > Others (기타)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89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