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 767

Cited 0 times in

인공호흡기 사용환자의 흡인횟수와 임상징후 발현과의 관계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endotracheal suctioning and clinical signs 
Authors
 윤영옥 
Issue Date
1988
Description
간호학교육 전공/석사
Abstract
[한글]

과다한 기관지 분비물은 기도내폐쇄를 초래하여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기도를 청결히 하고 폐포환기를 증가시키기 위해 흡인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스로 호흡을 할 수 없어서 인공호흡기를 부착하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기관내흡인 횟수와 임상징후 발현과의 관계를 조사하여 간호원으로 하여금 적절한 시기에 기관내흡인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에 위치한 Y대학 부속 S병원 입원하여 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30명이었다. 자료수집기관은 1987년 9월 1일부터 동년 10월 31일까지 였고 자료수집 방법은 관찰기록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산통계처리하여 인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등의 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상징후 발현빈도

흡인전 임상징후를 관찰하기 위하여 포함된 비대칭성 폐확장, 인두복명, 퇴축, 수포음, 호흡음결여 , 호흡시간지연, 청색증 등 7개 사항에 대해서는 임상징후를 나타낸 대상자가 한명도 없었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분석하는데 포함된 변수는 체온증가, 체

온감소, 맥박증가, 맥박감소, 호흡수증가, 호흡수감소, 수축기혈압 증가, 수축기혈압 감소, 이완기혈압 증가, 이완기혈압 감소, 호홉기내압력 증가, 호흡기내압력 감소, 1회호흡량 증가, 1회호흡량 감소등 14개 항목이었다. 흡인횟수 4회를 기준으로 흡인횟수가 많은

군과 적은 군으로 분류하여 비교한 결과 흡인횟수가 많은 군을 대상으로 했을 때 발현율이 높았던 징후는 맥박증가 11명(64.7%), 수축기혈압 증가, 이완기혈압 증가, 호흡기압력 증가가 각 9명(52.9 %)이었고 발현율이 낮은 징후는 호흡수 증가와 1회호흡량 감소로 각 1명 (5.8%)으로 나타났다.

흡인횟수가 적은 군을 대상으로 했을 때 발현율이 높았던 징후는 체온증가, 맥박증가 각 7명 (53.8%), 맥박감소, 수축기혈압 감소, 이완기혈압 감소, 1회호흡량 감소가 각 6명(46.1 %) 등이었고 발현율이 낮은 징후는 호흡수 감소 1명 (7.6 %), 수축기혈압 증가, 이완기혈압 증가, 1회호흡량 증가 각2명 (15.3 %)등 이었다.

즉, 흡인횟수가 많은 군에서 발현율이 높았던 징후가 흡인횟수가 적은 군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2. 각 임상징후의 변화정도

체온, 맥박, 호흡수, 호흡기내 압력에 있어서는 두군간의 변화정도가 유사하였으나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1회호흡량에 있어서는 두군간의 변화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즉, 수축기혈압과 이완기혈압의 경우, 흡인횟수가 많은 군이 적은 군에 비해 변화정도가 컸으며 1회호흡량의 경우 흡인횟수가 적은 군이 많은 군에 비해 변화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흡인횟수와 각 임상징후의 변화정도와의 관계

흡인횟수를 연속변수로 보아 각 임상징후의 평균치와의 관계를 피어슨 적률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흡인횟수는 수축기혈압( r = .4803 . p = .004), 이환기 혈압( r = .3006 , p = .025), 1회 호흡량 (r = -.3131, p= .046)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인횟수에 따라 흡인횟수가 많은 군과 적은 군으로 분류하여 두군간의 각 임상징후의 평균의 차이를 t값으로 검정한 결과 혈압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갓으로 나타났다.

즉, 유의수준 .05에서 이완기혈압의 변화정도( t = -2.14, p = .042)만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유의수준 .1을 선택했을 때 수축기혈압의 변화정도( t = -1.94, p = .063)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흡인횟수가 많은 군이 적은 군에 비해 수축기 및 이환기의 혈압변화 정도가 큰 것으로 해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고찰해 볼 때 흡인횟수가 많을수록 즉, 기관내분비물이 많이 축적될수록 혈압의 변화정도가 크게 나타나 혈압의 변화는 기관내 흡인 지침의 한 변수임을 제시해 주었다.



[영문]

Thirty patients on volume-cycled mechanical ventilators were surveyed to identify predominating clinical signs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endotracheal suctioning.

The variables measured included changes in vital signs, activity, ventilator pressure, tidal volume, presence of abnormal chest movement, breath sounds, and cyanosis. Secretions were aseptically obtained through a cuffed tracheal tube. Base-line data were gathered ten minutes after the patients were initially suctioned. Fifty minutes after the collecting a base line, clinical signs were remeasured, the patients were remeasured, the patients were suctioned, and the frequency of endotracheal suctioning was record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linical condition of patients on volume-cycled respirators for manifestations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of endotracheal suctioning, in an effort to identify indicators for endotracheal suctioning.

The subjects were thirty patients on volume-cycled respirators at Y-University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to October 31, 1987.

A check list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percentile, meant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even signs had no observable associations that is, there was increased or decreased activity, asymmetrical chest expansion, retraction, pharyngeal gurgle, coarse breath sounds, local absence of breath sounds, or cyanosis. The variables for analysis of this study were temperature pulse rate, respiration rate, systolic blood pressure, diastolic blood pressure, respirator pressure, and tidal, volume.

2.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for each sign and the frequency of suctioning.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r=.4803, p= .004),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r=.3606, p=.025), and the tidal volume was(r=-.3131, p=.046). These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suctioning.

3. The frequency of suctioning by tracheal suctioning ranged from 1 to 6. So subjects were classified by frequency of suctioning. Subjects suctioned 5 or more times made up group A. Subjects suctioned less than 4 times made up group B.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2 groups in regard to the amount of change in each clinical sign.

The change in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 in distinguising between group A and group B : The systolic blood pressure was (t=-2.14, p=.042). The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t=1.94, p=.063).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change in blood pressure is an important guideline for initiating endotracheal suctioning.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6774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3. College of Nursing (간호대학) > Dept. of Nursing (간호학과)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75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