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985

Cited 0 times in

호흡기 유지환자의 병원감염성 폐렴 발생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risk factors of nosocomial pneumonia in a mechanically ventilated patient of the intensive care unit 
Authors
 이혜경 
Issue Date
1996
Description
지역사회간호학과/석사
Abstract
[한글]

본 연구는 의무기록지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로써 기록에 나타난 폐렴 여부를 확인한 후 폐렴 발생 요인의 위험정도를 확인하는 기술적 연구이다. 이 연구는 1995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 사이에 일 대학 종합병원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48시간 이상 호흡기를 사용한 만18세 이상의 환자중 호흡기 사용 당시에 선행 호흡기 질환이 없었던 6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표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중환자실에서 심각한 보건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병원감염중 특히 인공 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의 병원감염성 폐렴의 위험 요인을 파악하여 병원감염성 폐렴 발생을 예방하고 효율적 관리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호흡기 유지환자의 병원감염성 폐렴 발생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Chi-square test와 t-test를 실시하였고 폐렴 발생 요인의 설명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 분석(Stepwise 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환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대상자 65명중 남자 설명, 여자 22명으로 남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65명중 43명이 50세 이상이었다. 환자의 과별 분포를 보면 내과 21명, 신경외과 12명, 신경과 12명, 외과 10명, 흉부외과 7명의 순이었다.

2. 호흡기 유지 환자의 병원감염성 폐렴 유무에 따른 관련 요인을 비교하여 본 결과 만성폐질환, 기관절개술, 항생제 사용, 제산제 사용, 혈청 알부민, 혈청 BUN, 의식 수준, 2회이상 기관내 삽관이 폐렴발생 유무와 유의하게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기관

내 삽관기간도 발생군에서 13일 비발생군에서 7일, 중환자실 재원 일수는 발생군에서 18일 비발생군에서 10일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폐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단계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고 비차비를 계산한 결과 만성폐질화(비차비=19.56), 기관절개술(비차비=11.14), 의식 수준(비차비=2.52), 기관내 삽관기간(비차비=1.164)이 폐렴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변수로 선택되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가 의무기록 조사를 통한 후향적 연구이므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혼란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의 전향적 연구가 실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이 연구 결과로부터 이러한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환자를 간호할 때 간호사는 각각의 위험 요인들을 폐렴을 발생시키는 위험신호 요인으로 인지하여 기존의 간호와는 차별화된 집중적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인공호흡기를 유지하고 있는 환자에게 많이 발생되는 폐렴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길 기대한다. 더 나아가 의료기관을 비롯한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병원감염성 폐렴의 실태를 보건 정책 차원에서 실시하여 이에 따른 병원감염성 폐렴 발생을 감소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감염 관리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문]

Various kinds of disease due to nosocomial inflection are reported in hospital setting as an adverse technology outcome of medical science. Especially, the occurrence rate of pneumonia related to nosocomial infec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in hospitals. There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finn affecting pneumonia related to nosocomial inflection in hospital intensive care unit of a hospital.

This research was a descriptive comparative study with a pneumonia group and non pneumonia (control) group.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retrospective review, designed to define nosocomial pneumonia and to describe the risks of nosocomial pneumonia in medical records. The sample included 66 patients over 18 years of age who used the mechanical ventilator over 48 hours at Intensive Care Unit of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Seoul from Jan. 1 through Feb. 28, 1995. The data was analysed by Chi-square and by the independent t-test to determine the factors related to nosocomial pneumonia. The Stepwis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risk factors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nosocomial infecti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nosocomial pneumonia were the follow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racheostomy, devious antibiotics use, antacids use, serum albumin, serum blood urea nitrogen, consciousness level, number of tracheal intubations, the period keeping the endotracheal tube, and the length of stay in intensive care unit.

There were four significant factors influenced the cause of nosocomial pneumoina; chronic pulmonary disease, tracheostomy, consciousness level, and the period keeping the endotracheal tube.

As recommendations of this study,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find out more factors in prospective design controlled confounding variables. This study, should also be expected to be used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in patients with nosocomial pneumonia, and for establishing effective management of hospital infection as an important part of community health care.
Full Text
https://ymlib.yonsei.ac.kr/catalog/search/book-detail/?cid=CAT000000008367
Files in This Item:
제한공개 원문입니다.
Appears in Collections:
4.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보건대학원) > 2. Thesis
URI
https://ir.ymlib.yonsei.ac.kr/handle/22282913/138147
사서에게 알리기
  feedback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

Links